육상서식지에 질소를 투입할 경우의 유럽 생태계의 반응
- 전문가 제언
-
○ 질소는 유기체의 생명유지에 반드시 필요한 물질로서 지구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있으나 대부분이 비-반응성 형태이다. 유기체들이 이용하고 있는 반응성형태의 질소는 생물학적 질소고정, 바이오매스의 연소, 화산활동, 번개 등을 통하여 에코시스템에 투입되고 있다.
○ 인간의 활동으로 인하여 지구의 질소 사이클에는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질소의 토양축적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에코시스템에 다양한 영향을 주고 있다. 에코시스템에 투입되는 질소는 암모니아와 같은 환원된 질소형태와 질소산화물과 같은 산화된 형태를 갖고 있다.
○ 질소축적의 증가는 작물의 생산성을 높게 하지만 식물종의 다양성을 해치기도 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영양의 불균형, 토양의 산성화, 암모늄의 독성 등으로 인하여 종의 다양성이 감소되기도 한다. 산화/환원 질소의 비율과 에코시스템의 응답에 관해서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며, 서식지의 토양조건, 질화율, 질소투입량, pH 등 많은 변수들이 적절하게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 질소축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질소의 방출억제를 통하여 환경시스템에의 질소의 투입을 줄이는 것이다. 현재 질소를 제거하는 많은 기술들이 다른 영양분을 동시에 제거하여 에코시스템의 기능에 변화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질소축적의 영향을 평가할 때 주의를 요한다.
○ 우리나라는 최근 채소류, 유실수 등 작물의 비닐하우스 재배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유기질비료와 질소비료를 많이 시비하고 있다. 퇴비와 질소비료의 과다한 사용은 수질을 오염시키고 어린이에게 청색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토양의 질소성분분석을 통한 적절한 시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저자
- Carly J. Stevens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1
- 권(호)
- 159
- 잡지명
- Environmental Pollu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65~676
- 분석자
- 윤*량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