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음식의 패턴과 지역의 식문화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 식문화 연구란 사람의 음식 소비와 관련된 제반행위에 관한 연구로 볼 수 있다. 주요 목적으로는 원활한 식품의 수급, 식품 개발, 판매전략 수립, 단체급식소와 식당의 메뉴 개발, 한국음식의 수출, 전통문화의 계승발전을 위하여 취하는 것으로 국민의 생활과 건강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수적이라고 본다.

○ 국내 식문화에서 한국, 중국, 일본의 경우 쌀이 주식이며 간을 맞추기 위해 반찬이 필요하게 되었다.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채소류는 독특한 특성이 없어 간과 맛을 부여키 위해 염절임을 하여 절임채소류가 시간 경과에 따라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독특한 맛과 향을 내는 감칠맛 나는 발효식품인 채소류가 탄생하여 우리 식문화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 국내의 발효기술을 이용한 간장, 된장 등 장류와 백제의 우리 조상이 알려준 쌀을 원료로 한 청주가 세계적으로 알려진 일본의 대표적인 술이 되었다. 이들 기술을 바탕으로 일본 기술이 세계의 으뜸 기술이 된 것은 우리의 역사가 앞섰음에도 발효기법의 과학화가 늦어지면서 우리전통식품을 세계화하는 데 늦어지는 결과를 초래한 것은 자성해야 할 것이다.

○ 2009년의 국내에 등록된 외식업체수는 약 71만개로 우리나라 인구수로 나누면 한 업체당 약 67명의 고객이 방문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일본의 경우 점포 1개당 157명, 미국의 경우 343명이라는 통계를 감안하면 국내 외식산업이 과포화상태이며, 국내 외식기업의 해외진출은 2008년까지 67개, 외식기업이 55개 국가로 진출하였지만 5%의 한식당만이 이익을 내고 있는 미미한 실정이다.

○ 최근 외식산업의 성장, 지방자치제의 정착, 레저생활의 보편화, 국제적교류 확대에 따른 외래식품과 외국 음식문화의 국내유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전통음식의 연구는 인식도, 기호도,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에 불과하다. 품목도 김치, 떡 등 몇몇 종류에 불과하므로 전통음식에 대한 영양특성 및 기능성 성분 등이 체내에 미치는 영향 등, 좀 더 과학적인 데이터를 발굴하여 실용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저자
Shuichi Kim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246
잡지명
香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1~29
분석자
신*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