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적합설계를 지원하는 디지털 휴먼의 최신동향과 복지응용에 대한 전망
- 전문가 제언
-
○ 디지털 휴먼(digital human)은 1980년대부터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1990년대에는 제품이 시판되기 시작하였다. 이 연구는 Siemens사, Human Solution사 및 Dassault사 둥이 중심이 되어 항공기나 자동차, 공장 라인 설계 등에서 활용되어 왔으며, 최근 들어 Iowa 대학이 개발한 Santo도 제품화되어 이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제품의 인간중심 설계를 위해 진전되어 왔으나 고령자나 장애자가 이용하는 복지 기기 설계에 대한 응용전개도 조속히 이뤄져야 하겠다.
○ 디지털 휴먼의 최신 동향으로서는 첫째, 자세를 변경하기 위한 기본 골격구조 모델과 여러 가지 이용자를 생성하는 대표체형 변화 모델을 실현하는 것이다. 둘째, 운동생성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자유도 운동을 결정하는 결정론적 방법과 운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확률론적 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아직까지 자동차나 공장 등의 제품환경을 변경했을 경우의 인간측 운동변화를 시뮬레이션하는 응용사례는 적고, 인간에게 장착했을 경우의 중량변화나 중심변화에 대한 보행, 주행, 도약 등의 운동변화를 시뮬레이션하는 응용사례가 많다.
○ 디지털 핸드의 최신 동향으로서도 앞에 언급한 바와 같이 첫째, 기본 골격구조 모델과 규격 변화, 둘째, 운동생성 기술을 들 수 있다. 이에 추가해서 손가락의 골격구조와 근육을 모델화하여 근장력 제어에 따른 손가락의 자세를 생성하는 시뮬레이터 개발을 위한 근골격계 모델이 Canada UBC의 Pai 교수 등에 의해 개발되고 있다. 한가지 예로서 사체의 손을 의료용 CT 화면 데이터에 따라 개별적인 근골격계 모델 구조의 파라미터를 취득하고, 또한 동일 사체의 힘줄을 컴퓨터 구동으로 견인하여 시뮬레이션 검증을 추진하고 있다.
○ 최근 들어 우리나라의 삼성전자가 설정한 차세대 경영방침인 디지털 휴머니즘(Digital Humanism)에 대해 이재용 사장은 이것이야말로 “삼성의 지향점”이라고 역설하였다. 또한, 삼성전자의 윤부근 영상 디스플레이 사업부 사장은 그의 기조연설에서 “첨단기술과 아날로그적 감성가치의 만남인 디지털 휴머니즘을 통해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할 것”이라며, 이를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한다고 발표한 바가 있다.이 분석물은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진흥금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 저자
- Masaaki Mochimar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1
- 권(호)
- 50(1)
- 잡지명
- 計測と制御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4~9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