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복동 내연기관의 바이오 연료 고도이용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 연료 연소에서 배출되는 CO2는 교토의정서의 온실가스 배출삭감 계획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한편 생물자원으로부터 생산되는 바이오 연료는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환경문제 해결과 화석연료 고갈을 대비한 에너지 확보라는 두 가지 측면이 고려되어 전 세계적으로 빠른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 특히 수송 분야에서 바이오 디젤과 바이오 에탄올의 보급은 다른 여타 연료와 비교할 경우 경유, 휘발유를 각각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어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하는 각국에서 연료의 표준을 제정하여 보급 확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식량자원의 연료화에 따르는 도덕적 문제, 수자원 고갈, 이차적인 산림 파괴 등 여러 부작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이오 디젤과 바이오에 에탄올로 대표되는 바이오연료의 확대는 앞으로 오랜 기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 이 보고서에서 해설하고 있는 바이오 연료의 고도이용이란, 앞으로 연구의 진전에 따라 연료의 유효 이용과 환경 특성이 비약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여기에서는 바이오 연료의 성상뿐만 아니라 이를 사용하는 기존 왕복동 내연기관의 개조 방향도 시사하고 있다.
○ 이 보고서의 내용 중에서 BDF(Bio-diesel fuel; 바이오 디젤 연료)관련 항목은, 우리나라에서도 수송 분야의 연료에 바이오 연료를 섞어 사용하는 것을 의무화하려는 ‘바이오 연료 혼합 의무사용제(Renewable Fuel Standard; RFS)’의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참고가 될 것으로 보인다.
- 저자
- MORIMUNE T., KOREMATSU K.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52(159)
- 잡지명
- 日本燃燒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49~59
- 분석자
- 조*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