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대기 중 오존농도 변화가 산림식생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 프랑스의 남동 지중해지역에서 수년 동안 높은 오존농도와 더불어 소나무 잎에서 백화반점이 관찰되었다. 본 원고에는 2000~2008년 사이의 프랑스 메르캉투르 국립공원지역의 대기 중 오존농도의 추세분석과 산림피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결과가 기술되어 있다.

○ 산업과 농업의 발전 그리고 자동차의 증가로 인하여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오염물질의 배출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질소산화물, 휘발성 유기화합물들은 대류권의 오존생성에도 관여하고 있다. 대기의 오존이 인간의 건강과 작물 및 산림에 주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는 광범위하게 거론되어 왔으며, 에코시스템에의 오존영향에 관한 많은 연구과 현재에도 진행되고 있다.

○ 유럽에서의 오존전구체방출은 과거 20년 동안 계속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프랑스 메르캉투르 국립공원의 고지대에 대한 2000~2008년의 계절추세분석에 의하면 오존농도는 봄과 여름의 따뜻한 계절에는 감소하고 추운 계절에는 증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 특정 지역의 지형과 주변 환경이 다르면 오존농도에도 영향을 미치며, 특히 광화학오존이 생성되는 낮과 오존의 파괴가 일어나는 야간의 오존농도 차이는 크다. 온도, 풍향 등의 기상변수들은 변할 수 있으므로 오존농도의 추세를 분석할 때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 우리나라도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의 경우 대기 중의 오존농도가 높아지고 있는 반면, 태양의 자외선을 차단시켜 주는 성층권의 오존농도는 계속 낮아지고 있다고 한다. 또한 우리나라 상공에서도 성층권의 오존이 대류권으로 유입되고 있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에코시스템에의 오존의 영향평가에 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Pierre Sicard, Laurence Dalstein-Richier, Nicolas Va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159
잡지명
Environmental Pollu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51~362
분석자
윤*량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