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이온을 식별하는 π-공액 나선 폴리머의 설계와 합성
- 전문가 제언
-
○ 생체, 의료 및 환경 분석분야에서 음이온의 종류를 식별하고 정량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석이 되는 음이온센서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 한방향성 나선구조를 갖고 있는 폴리머는 광학활성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폴리머는 용액 중에서 주 사슬은 동적인 나선구조를 만들어 빛, 온도, 용매, pH 및 화학물질과 같은 외부자극에 응답하여 그 카이랄 및 광학특성이 변화하는 자극응답성폴리머로서 그 기능이 알려져 있다. 이 자극응답성 성질을 이용하면 센서 재료로서 응용이 가능하다고 본다.
○ 필자들은 동적인 나선폴리머의 일종인 π-공액나선폴리머로 폴리페닐아세틸렌 화합물을 바탕으로 값싸고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음이온센서를 개발 하고 있고, 여기에 소개하였다.
○ 지금까지 연구된 음이온 센서들은 주로 유기용매 중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수중에서 용매화에 의한 음이온의 상호작용이 저해되어 색채변화를 나타내지 않는다. 생체나 의료분석에 응용을 하기 위해서는 수중에서의 음이온 검출 가능한 계의 개발이 바람직하다.
○ 앞으로 이 값싸고 간편한 분석방법인 비색음이온센서의 활성화는 현장에서 측정이 가능한 강력한 기구로서 응용 및 수요가 기대되는 분야로 생각된다. 따라서 앞으로 폭넓은 분야에 적용 가능한 비색음이온 센서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수적이라 생각할 때 우리나라라고 제외될 수 없는 분야이다. 미래 유망기술 100선에 선정될 정도로 중요한 분야라 생각되며 이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갖는 연구가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 저자
- T. Kahuchi, R. Shima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1
- 권(호)
- 11(2)
- 잡지명
- 未來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12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