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양의 부제병(腐蹄病) 퇴치를 위한 도전

전문가 제언
○ 부제병(Footrot)은 역사적으로 18세기에 영국에서 양들에서 크게 발병했던 것으로 19세기 초에 프랑스를 비롯한 미국, 이태리, 독일, 오스트리아에서도 발병되면서 접촉성 전염병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 부제병은 세균성 질병으로서 경제적인 손실이 클 뿐만 아니라 양들의 보건적인 면에서도 심각하며 퇴치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농장이나 양들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발병 원인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D. nodosus의 감염에 따른 부제병의 장애로는 세균학적으로도 복잡하지만 파지나 플라스미드 같은 염색체 이외의 전염성 mobile genetic factor들이 얽혀 있어서 유전학적으로 매우 복잡한 것이다.

○ 최근 연구의 중점분야는 더욱 우수한 백신 개발에 있으며 단위농장별로 맞춤형 백신 접종, 양의 사육환경에 적합한 목장관리, 부제병 유전자들과 세균의 집단적 역학관계와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질병에 강한 품종의 양을 선택적으로 육종하는 것 등이다.

○ 국내의 양 사육 두수는 수백 마리에 불과하고 부제병 발병 사례도 없다. 다만 소나 돼지 등에서 부제병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페니실린과 스트렙토마이신 복합제 또는 옥시테트라싸이클린 계통의 항생제를 이용하여 치료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가축질병 발생 양상은 오랫동안 국내에서 발생하던 질병과 최근 국제사회의 여러 변화 상황을 반영해 새롭게 발생하는 신종?변종 질병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축질병이 발생하면 경제적?사회적?국제적 중요도에 따라 1종?2종?3종으로 나누어 63종의 질병에 대해 가축전염병 예방법에 따라 통제?관리하고 각각의 질병에 따른 방역정책을 적용한다. 국내에서는 63종의 가축질병 가운데 매년 30여 종의 질병이 발생하고 있다. 앞으로 구제역이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와 같은 악성 가축전염병이 발생하면 군 화생방(化生防) 부대를 방역작업에 투입하여 초기 단계에 진화시키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저자
G.N. Bennett, J.G.H. Hickford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1
권(호)
148
잡지명
Veterinary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7
분석자
장*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