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제어 및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전력선 통신망
- 전문가 제언
-
○ 전력선 통신은 통신 목적으로 현존의 전력선 인프라를 사용한다. 최근 대부분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사용자들을 위한 인터넷 접속이나 멀티미디어 통신과 같은 고속 데이터 율 응용 프로그램의 PLC(Power Line Communication/전력선 통신)에 대하여 기고하고 있는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넓은 범위에 펼쳐진 수백이상의 기기들을 포함하는 대 규모 시스템에서 제어 및 자동화가 가능한 PLC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의 공통적 요구조건과 이를 만족하기위한 PLC 전송개념을 고찰하였다
○ 대규모 제어 및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전력선 통신망의 전형적인 예 로서 Smart Grid로 알려진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들 수 있으며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PLC망 설계시 본고에서 제시하고 있는 SFN(Single Frequency Network/단일 주파수 망)기반의 Flooding개념에 대하여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신국가 발전 패러다임으로 “저 탄소 녹색 성장”을 국가 비전으로 선언하고 그 일환으로 2009년 한국 스마트 그리드 협회가 발족되었으며 2030년 세계 최초 국가단위 스마트 그리드 구축을 목표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 또한 세계 최대 규모의 종합적 스마트 그리드 신기술 실증 단지를 구축하여 기술 개발 결과물을 테스트하고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목적으로한 제주 실증 단지 추진과 함께 2011년 4월 아랍에미리트에서 개최된 2차 클린 에너지 장관회의에서 한국 주도로 스마트 그리드 국제 협력체인 ISGAN(International Smart Grid Action Network)을 출범하여 향후 기술 표준화와 인증에 유리한 여건을 구축한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 PLC기술은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따라 통신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분야이므로 정부를 비롯해 관련 산업체들의 보다 깊은 관심이 필요하다.
- 저자
- Gerd Bumiller,Lutz Lampe and Halid Hrasnic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48(4)
- 잡지명
-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06~113
- 분석자
- 이*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