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안전한 육류 생산을 위한 동물사료용 프로바이오틱과 프리바이오틱

전문가 제언
○ 프로바이오틱이란 항생물질과 상대되는 개념으로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개선함으로써 숙주인 사람과 동물의 건강을 이롭게 하는 미생물을 말한다. 프리바이오틱은 유용미생물을 증식시키는 인자로 장내환경과 숙주의 건강을 개선하는 성분이다. 신바이오틱은 프로바이오틱과 프리바이오틱의 혼합물이다. 프로바이오틱은 세균, 효모, 곰팡이가 있으며 프리바이오틱은 비소화성 올리고당류와 식이섬유가 있다. 프로바이오틱은 발효식품은 물론 가축 및 양어용 사료첨가제로 사용되고 있다.

○ 국외에서는 이미 동물성장촉진제로 항생물질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금년 7월 1일 이후부터는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국내외 연구자들은 항생물질 대체용 프로바이오틱 제품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사람의 건강과 관련된 프로바이오틱 제품은 물론 가축이나 어류의 생산에 이용되는 프로바이오틱 제품의 특허 및 효능에 관련된 연구는 엄청나게 많이 발표되고 있다.

○ 한편 환경보호와 안전한 식품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착되면서 국내의 축산농가에서도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생균제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축산 및 수산분야의 항생물질 사용 실태조사를 비롯해서 축산 환경개선제로 생산, 유통되는 생균제의 문제점 및 검증방안 등이 검토된 바 있으며 동물사료 첨가용 프로바이오틱괴 프리바이오틱과 그 효능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 현재 사용되고 있는 프로바이오틱 제품 중에는 표시된 미생물이 없거나 표시된 종 이외의 다른 종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고 생균이 거의 없는 경우도 있다. 앞으로 프로바이오틱의 제품에는 정확하게 동정된 종명이 기재되어야하며 동물에 투여할 때의 프로바이오틱 생존력과 생균수를 확실하게 할 필요가 있다. 사용한 실험계획의 이질성 때문에 동물과 사람의 프로바이오틱 효과는 대립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의 투여용량, 투여시간, 투여방법은 물론 실험동물의 상태를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
저자
Francesca Gaggia, Paola Mattarelli, Bruno Biavat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141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5~28
분석자
민*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