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략의 개발 및 시행에 대한 심층 검토
- 전문가 제언
-
○ 지구 에너지 소비는 2008년 11,295Mtoe인데 우리나라의 2008년도 1차 에너지 소비는 238.185Mtoe(석탄 65.342, 석유 99.784, LNG 34.229, 수력 0.985, 원자력 32.456, 기타 5.389)이며 에너지 수입 의존도는 96.4%이다. 같은 해 우리나라의 최종에너지 소비는 181.684Mtoe(석탄 25.498, 석유 97.072, LNG 19.460, 전력 33.116, 열 1.511, 기타 5.027)이었다.
- 본 논문에서는 중국이 세계 제2의 에너지 소비국이라고 기술하고 있으나 그것은 2008년까지의 통계를 근거로 한 것이며 2009년 국제에너지기구(IEA) 통계를 보면 중국(2,250Mtoe를 소비)이 미국(2,170Mtoe를 소비)을 젖히고 세계 제1의 에너지 소비국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10년 전 중국의 에너지 소비는 미국의 절반 수준이었다.
○ 세계는 에너지 위기가 왔음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에너지 소비를 줄이지는 못하고 있다. 다만 화석연료의 고갈(자원 가채 기한: 석유 40년, 가스 58년)이 머지않았음을 대비하여 지속가능한 에너지원 찾기에 부심하고 있다. IEA는 지속가능에너지 정책 및 기술 담당국(Sustainable Energy Policy and Technology, SPT)을 산하에 두고 국제협력을 주도하면서 에너지효율, 기후변화, 에너지 신기술, 탄소포획저장기술, 환경 등의 주제를 총괄하고 있다.
○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는 에너지 위기 탈출구를 에너지 구성(energy mix) 다양화에서 찾아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 석유와 가스는 물론 오일샌드(oil sand), 셰일 가스(shale gas), 대체 에너지 등이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 대체 에너지에 포함되는 바이오연료, 풍력, 태양력 등과 같은 재생에너지는 2030년까지 지구 에너지 수요의 6% 정도를 담당할 것으로 전망된다[영국석유, BP]. 재생, 저탄소 에너지는 아직은 가격 경쟁력이 약하다. 우리나라는 풍력 발전, 태양광발전, 조력 혹은 파력 발전의 가능성이 충분하므로 가격 경쟁력이 구비될 때까지 정부의 지원을 통하여 성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Yang, Xia ; Song, Yonghua; Wang, Guanghui; Wang, Weishen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0
- 권(호)
- 1(2)
- 잡지명
- IEEE Transactions on Sustainable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57~65
- 분석자
- 황*룡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