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과학연구의 벤치마킹

전문가 제언
○ 본 연구는 일본과학연구의 벤치마킹을 하기 위해서 기초연구활동으로 생산되는 공표매체인 학술논문에 기초해서 개별지표(논문수, Top10%논문수, 피인용수)와 복합지표(논문수에 대한 Top10%논문수가 점하는 비율, 상대피인용도)에 의거 시계열상에서 일본의 연구 활동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본 조사 분석에 이용한 데이터베이스는 톰슨ㆍ로이터 사이언티픽의 Web of Science, 분석대상기간은 1981~2009년 기간이며, 분석대상국은 일본,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중국 및 한국 등 7개국이고 카운트방법으로서 정수카운트 법과 분수카운트 법을 사용하였다.

○ 일본논문수의 경향을 보면 1990년대는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서 하강국면이며, 특히 2008년을 기준하여 미ㆍ중ㆍ영ㆍ독에 이어 제5위로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Top10%논문수 셰어를 보면 미ㆍ영ㆍ독에는 차이가 있지만 프랑스와는 호각지세로 나타나고 있다.

○ 일본의 국제공저상대로서는 1997~1999년 어느 분야에 있어서도 제1위 상대국이 미국이었지만 2007~2009년 재료과학분야에 있어 중국이 제1위가 되는 변동이 일어났다. 중국은 어느 분야의 셰어에서도 증가하고 있지만 특히 임상의학분야에서는 논문수 셰어 및 Top10%논문수 셰어에서 일본을 추월하고 있을 정도로 발전하고 있다.

○ 한국의 논문수는 1987~1989년 기간 중 세계25위(세계셰어 0.5%), 1997~1999년 세계 12위(셰어 2.2%) 그리고 2007~2009년 세계 10위(셰어 3.3%)로 발전하고 있으며, Top10%논문수에서도 1987~1989년 25위권 밖이었으나 1997~1999년 세계 16위(셰어1.3%) 그리고 2007~2009년 세계11위(셰어 3.1%)로 발전하였다.

○ 이와 같이 일본은 주요국 연구 활동의 벤치마킹을 위해서 학술논문을 분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정수카운터 법 및 분수카운트 법에 의거 각국을 상대로 한 연구 활동의 시계열 및 구조변화를 예측함으로서 과학기술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조사의 대응이 필요하다.
저자
NISTEP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0
권(호)
1(,)
잡지명
NISTEP 조사자료 -192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151
분석자
김*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