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의 관리와 그 정책에 있어서 대양의 생태 데이터세트와 그 응용
- 전문가 제언
-
○ 육지에 대한 장기적인 생물학적 시계열(rime-series)은 몇 가지가 있으나 해양환경에 대한 시계열은 상대적으로 드믄 편이다. 이는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의 4차 평가 보고서에서 언급한 육지 시스템에서 조사된 주요 생물학적 변화와 해양 및 민물계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의 변화를 보아도 알 수 있다
○ 대양에 대한 장기적인 생물학적 시계열(time-series)은 상대적으로 귀한 편이다. 본 검토는 가장 길게 보이는 두 가지의 시계열을 가지고 그러한 생태적 시계열의 정보적 가치가 시공간을 통하여 어떻게 증가되고 있는가를 그것의 잠재적인 정책적적 가치(potetial pokicy value)의 관점에서 조명해 보고 있다.
○ 또한 해양관리의 주도체(marine management driver)를 바꾸어 봄으로서 대양의 생물학적 시계열의 공진화(채-evolution)는 어떠한 것인가를 탐색해 보고도 있다. 이러한 관찰을 통하여 얻은 교훈은 현존하는 시계열지속성에 대한 가치 있는 정황을 제공하고 있으며 급속한 지구의 변화에 반응하는 새로운 시계열에 대한 주도력을 전망하고 있다.
○ 새로운 대양의 시계열 관찰이 시도되어야 하며 이 지역은 남대양 및 북극해(the Southern Ocean and the Arctic) 같은 기후변화에 민감한 지역이 되어야 할 것이다.이러한 새로운 시계열 관찰은 시공간에서의 확장된 관찰을 위한 경비효율적인 메커니즘으로서의 더 많은 편의주의적 편승(ships of opportunity)의 이득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본 검토는 해양 관착 시스템에 대한 좀 더 종합적인 접근방법이 있어야 할 것과 미래에 수행되어야 할 적응성 있는 해양관리대책에 있어서 대양에 대한 관찰의 역할에 대해서 중점을 두어 언급하고 있다.
- 저자
- Martin Edwards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25
- 잡지명
-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02~610
- 분석자
- 김*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