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룰로오스 기반 수화겔의 현황과 전망
- 전문가 제언
-
Hydrogel이란 용매에 의해 팽윤된 3차원 폴리머 네트워크로서, 바이오폴리머 또는 고분자전해질로부터 형성된 구조로 많은 량의 물을 함유한다. 수화겔은 재료의 원천에 따라서 천연 수화겔과 합성 수화겔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가교 방법에 따라서 화학적 겔과 물리적 겔로 분류 한다. 물리적 겔은 이온 또는 수소결합에 의하여 분자자기조립에 의해서 형성되며, 화학적 겔은 공유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1960년 처음으로 Wichterle and Lim에 의해서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 수화겔의 의학적 적용 이후 수많은 수화겔이 약물전달,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 센서, 흡수제, 콘택트 렌즈 및 정제 등 여러 분야에서 생분해 소재로써 연구 개발되어 왔다. 특히, 수화겔을 이용한 기술은 약물전달 분야에서 미국내 최다 인용특허를 기록할 정도로 주목을 받는 소재이다.
특히, 셀룰로오스 수화겔은 무기나노입자 결합의 매트릭스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무기물 결합으로 다기능성의 새로운 셀룰로오스 기반 수화겔 제조 가능성이 높다. 또한 셀룰로오스 기반 수화겔은 친수성,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투명성, 저 비용 및 무독성과 같은 많은 유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국내에서도 무독성, 생분해성 수화겔을 개발하여 온도 감응 및 pH 감응스마트 고분자, 의료용, 약품전달, 혈액정화, 센서, 화장품, 소프트콘택트렌즈, 위생재, 농업 및 식품 등의 다양한 시장 개척을 위해 셀룰로오스 기반 수화겔에 관한 연구개발이 필요 하다.
셀룰로오스는 환경친화적이고 저 비용 수화겔로 미래 석유기반 소재의 실용적인 대체물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저자
- Chunyu Chang, Lina Zhan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1
- 권(호)
- 84
- 잡지명
- Carbohydrate Polymer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0~53
- 분석자
- 김*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