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pergillus nidulans의 무성생식발생
- 전문가 제언
-
○ 분생포자형성에 관한 모델 생물로서 A. nidulans는 경제적인 균류 종인 A. niger와 A. oryzae, 또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A. fumigatus와도 관련이 있다. 그러나 환경 자극이 감지되어 무성 생식하는 동안에 형태형성 변화로 전환되는 분자적 기전은 A. nidulans에서도 아직 완전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 분생포자생성의 활용에는 여러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식품산업과 생물조절제(biocontrol agent), 항생물질 생산을 위한 종균(inoculum)의 생산, 발효미생물에서 유용균 증식을 위한 유용미생물의 대량생산, 그리고 균학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다. 메주 발효시 A. flavus같은 잡균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신 A. oryzae 포자를 대량으로 살포하여 활용한다. 그 외에도 균의 독성생성으로 인하여 인간이나 식물에 해를 주기도 한다.
○ 우리나라연구 동향을 검토한바 재배지 토양 균근 포자 밀도와 감염특 성에 관하여 연구, 표고버섯 포자의 과민성 폐장염에 관한 연구를 통하 여 포자로 인한 독성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조사한 바 있다. Collectotrichium sp.의 포자현탁액접종에 의한 탄저병 저항성 연구, 느타리버섯 포자와 균사체에 관한 연구, 소나무림에서의 송이 포자의 산발적 분포가 송이 생산에 미치는 결과를 조사하여 포자의 산업적 이용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 최종적으로 A. nidulans에 대하여 기술한 조절요소 활동양상은 인간 세포 같은 고등 진핵생물에서 약간의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이 역할은 꽃을 피우는 식물의 기관발생에서도 전사요소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다. 분생포자 발생의 유도와 조절에 관여하는 요인들의 단계별 특이적인 기능을 해부하기 위한 방법과 프로토콜(protocol)의 개발이 필요하며, 분생포자가 형성하는 동안 단계별 특이 조절점의 확인, 새로운 단계별 특이 유전자의 발현, 그리고 UDA와 CDP의 조절 요인인 단백질간의 상호작용을 계속 연구 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O. Etxebeste, A.Garzia, E. A. Espeso and U.Ugald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18(12)
- 잡지명
- Trends in Micro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569~576
- 분석자
- 민*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