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재생에너지 생산을 위한 탄소나노튜브 하이브리드재료

전문가 제언
○ 일본전기회사 부설연구소의 스미오 박사가 1991년 전기 방전법을 사용하여 음극 상에 형성된 탄소덩어리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탄소나노튜브는 지름이 수∼수십 나노미터로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 모양이 서로 연결된 관이다. 전기 전도도는 구리, 열전도율은 다이아몬드와 유사하게 우수하며, 강도는 철강보다 100배나 더 강한 특수한 성질을 갖는 환상적인 재료이다.
○ 이 탄소튜브가 발견된 이후 이 튜브를 다른 재료들과 합성하고 응용을 위한 많은 연구를 수행하여 반도체, 평판 디스플레이, 배터리, 초강력 섬유, 생체 센서, 텔레비전 브라운관 등에서 성공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 최근에는 CNT를 전도성 고분자, 무기질 반도체 또는 금속/세라믹나노 입자들과 연합하여 CNT구조의 하이브리드재료로 개발하여 에너지 생산 및 저장 관련분야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이를 위한 재료의 설계, 제조 및 성능측정 등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으나 관련 효율을 더 상승시키기 위하여 이미 개발된 나노구조의 개량과 다른 나노계통의 재료들과의 하이브리드를 위한 설계, 개발 및 보다 더 다기능적인 계통의 개발 연구가 더 필요하다.

○ 현재의 선진국 중심의 연구경향을 고려하면 하이브리드된 CNT나노구조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는 재생에너지의 생산과 저장장치로서 인류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는 돌파구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믿어지는 바 국내 관련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정부 및 산업체의 강력한 지원이 요구된다.
저자
Fernand D.S. Marqui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1
권(호)
63(1)
잡지명
JOM Journal of the Minerals, Metals and Materials Society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8~53
분석자
남*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