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성 기름의 절삭유로서의 잠재력
- 전문가 제언
-
○ 환경문제뿐 아니라 석유가격의 급등, 그리고 언젠가는 석유자원이 고갈될 것이므로 현재의 석유기반 윤활유를 가격이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식물성 기름으로 대체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크다.
○ 우리나라에서도 식물성 기름을 이용한 윤활유의 연구개발이 진행되어왔다. 장암엘에스(대표 구연찬)는 한국화학연구원 정근우박사팀과 공동으로 윤활작용을 한 뒤 자연 상태의 미생물에 의해 완전히 분해돼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유채 등 식물의 기름을 주원료로 사용한 항공기용 그리스를 개발하여 2010년도부터 항공기용 그리스 "BS-17"을 국내 항공기부품업체와 유럽의 항공기 제조업체 및 호주의 항공기 관련업체에 납품하기 시작했다.
○ 계면활성제 전문 업체 오성화학공업은 식물성 기름을 사용해 폐수 등 환경오염 피해를 줄인 양이온 계면활성제'하이소프터MEQ'를 개발해 국내외 특허등록을 마치고 2010년부터 본격적인 판매에 나섰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가정에서 세탁 후 사용하는 섬유유연제와 산업용 윤활유의 주요 재료로 사용된다.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품 합성 후에도 고농도 폐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 식물성 기름을 기반으로 한 윤활유는 산화가 쉽고 극압성과 피막두께가 작고 저온에서의 과부하 및 윤활성이 극심하게 저하되는 단점들을 갖고 있다. 이 단점들을 완전히 극복하여야 식물성 기름들이 광유계 윤활유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 식물성 기름의 윤활유로서의 적용가능성은 어느 정도 증명되었다. 그러나 금속가공유로서는 아직 가능성은 보였으나 상품화까지는 이르지못하였다. 금속가공 특히 절삭시에는 절삭면에서 접촉압력이 클뿐 아니라 고열을 생성하므로 식물성 기름 기반 절삭유의 극압 및 고열에서 안정성을 갖도록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Y.M. Shashidhara, S.R.Jayaram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43
- 잡지명
- Tribology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073~1081
- 분석자
- 김*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