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아이형 반사방지 코팅기술
- 전문가 제언
-
○ 현재, 개인 컴퓨터나 휴대전화 및 자동차 내비게이션 등을 비롯한 모바일 디스플레이는 실내만 아니고 실외에서 사용이 많다. 이 경우에는 외광으로부터 생긴 반사광에 의한 눈부심 방지기능을 부여하여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개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종래 반사광의 영향을 방지하는 필름으로는 반사광 확산을 억제한 눈부심 방지(AG)필름과 반사광 자체를 간섭에 의해 줄인 반사 방지(AR)필름이 있다. 현재 AG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에 많이 사용되고 있고 AR 필름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사용되고 있다.
○ 이들 방법과 달리 진보된 가장 유용한 기술은 소위 나노크기의 미세한 요철구조를 표면에 형성하는 것으로서 공기와 기재의 계면에서 굴절률을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표면반사를 방지하는 것이다. 이 구조는 나방의 눈(Moth-Eye)의 표면구조를 모방한 것이고 생체모방의 대표적 예가 모스아이 반사 방지필름이다
○ 현재, 상향식(Bottom-up) 가공방식인 자기조직화 수법에 의한 재료설계로 알루미늄 양극 산화에 의해서 무수의 나노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알루미나 나노홀어레이(ANHA)를 이용한 연속 광 임플린트 기술이다. 이는 실제로 기반 필름의 연속적인 모스아이형 반사 방지코팅의 기술이다.
○ 대면적화한 롤 금형을 이용하여서 제조된 필름은 100nm 주기의 균일한 크기의 모스아이 구조가 나노 임프린트 되어있고, 반사율 0.5% 이하로 극적인 개선과 에너지 비용의 대폭적인 절감 효과가 있다.
○ 2010년도에 우리나라와 일본중심으로 디스플레이용 코팅 필름 시장에서 반사방지 필름의 사용 비율은 20%이고, 향후 급신장 추세에 있다. 현재, 최첨단의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사용하기 위한 일본에서 실용화 단계에 있는 모스아이형 반사방지 코팅기술의 본격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나노 가공과 고기능성 코팅을 합체시킨 특별한 기술이 앞으로 더욱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Yoshihiro UOZ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46(5)
- 잡지명
- 日本接着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73~177
- 분석자
- 이*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