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섬유산업의 환경 대응

전문가 제언
○ 전 세계 섬유산업 시장은 2015년 1만6천여 달러 규모로 성장하며 친환경섬유 제품 비중은 10% 이상으로 예상된다. 현재 친환경 합성섬유의 경우 Natureworks LLC, Dupont, Toray 및 Teijin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Natureworks LLC는 아시아의 바이오 폴리머의 수요 증가에 따라 옥수수 유래의 폴리젖산 수지제의 친환경 소재인 인지오 생산설비를 세계적 규모로 2011년 하반기 아시아에 건설할 예정이다.

○ 한국 정부는 섬유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0년도에는 2007년 기준 50% 수준으로 낮춘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어 국내 업계도 친환경섬유 소재 및 제품, 공정 개발이 절실하다.

○ 따라서 섬유스트림간의 균형적 생산기반, 뛰어난 IT, BT, NT 등 융합관련기술의 활용 잠재력, 세계 6위의 섬유 수출국으로서의 해외시장 개척 노하우 등을 살려 전 세계적인 친환경 섬유제품의 수요 증가, 에너지 저감 및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 촉진 추세를 선도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추어야 한다.

○ 또한 범용품 위주의 생산 구조, 낮은 원천기술 수준의 보완 등을 통해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신무역장벽, 기존 시장의 위축, 녹색제품 생산의 경쟁 심화 및 원면, 유가 등의 원자재 가격의 급등과 수급 불안 등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

○ 한편 세계 각 국가별로 소비자와 환경 보호를 위한 규제 정책이 추진되면서 환경, 보건 관련 규제 및 인증은 해외 시장 진입의 선결조건인 동시에 기술후진국에 있어서는 비관세 장벽으로도 작용한다. 우리나라는 1992년 환경마크제도 운영에 관한 규정 고시 후 2005년 시행된 '친환경상품 구매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공기관의 친환경상품의 의무구매를 추진 중이며 2011년 1월 현재 148개 제품군에서 8,042개의 제품이 환경마크 인증을 받았다. 이 중 섬유관련 제품은 의류, 직물을 포함하여 87개로 타 산업에 비해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저자
YAMASAKI Yoshikaz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63(5)
잡지명
纖維機械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45~252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