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네트워크의 위험
- 전문가 제언
-
○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사용자의 참여ㆍ공유ㆍ개방 등의 핵심가치를 근간으로 한 웹2.0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터넷에서 인적 네트워크 형성을 지원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정보교류를 주도하는 핵심 정보통신 서비스로 등장하였다.
○ SNS 사용자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SNS는 스마트폰 등 이동통신 수단과 메신저 등의 서비스와 연동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 등 경제적 부가가치를 생성하고 있으며, 정치 참여 등의 사회적 활동을 지원하는 제반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고 있다.
○ 그러나 SNS의 활용 및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짐에 따라 SNS 환경에서의 역기능 또한 중요한 국가ㆍ사회적 과제로 인식된다. SNS 환경에서는 전통적인 보안위협뿐 아니라 프라이버시 침해, ID 도용, 명예훼손 등의 사회적 위협이 존재하며 사이버 스토킹 또는 괴롭힘, 사회공학 기법의 공격을 이용한 산업기밀 유출 등의 보안 사고들이 발생된다. SNS는 특히 회원 사이의 신뢰관계를 기반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스팸, 악성코드 유포 등이 매우 빠른 속도로 확산된다.
○ 이러한 SNS의 보안위협에 대해 국외 보안 전문연구기관인 팔로 알토 네트웍스는 기업에서 소셜 네트워크 관련 정책 수립 시 고려해야 할 10가지 위험요소를 발표했으며, 국내 안철수 연구소도 SNS 보안위협을 2010년도 핵심 위협으로 선정하고 주의를 요망하였다. 국내에서는 한국정보보호학회를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전문연구기관들이 SNS 보안위협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NETSEC KR 등의 학술대회를 통해 꾸준히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추세이다.
○ 본 논문에서는 SNS가 제공하는 다양한 새로운 기회와 더불어 SNS가 유발하는 보안위험들을 서술하며 이에 대한 대책들을 간략히 소개한다. 국내 현황에 적합한 보안대책 개발 및 사용자 교육ㆍ홍보 강화 등에 대한 국가ㆍ사회적 노력이 시급한 시점이다.
- 저자
- Marc Langheinrich, Gunter Karjoth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15(2)
- 잡지명
- Information Security Technical Repor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51~56
- 분석자
- 고*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