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프로바이오틱과 병원균의 상호작용

전문가 제언
○ 프로바이오틱이란 장내미생물의 균형을 개선함으로써 숙주인 사람과 동물에 대하여 유익하게 작용하는 균주를 말한다. 지금까지 밝혀진 프로바이오틱의 기전은 장관내의 pH 감소, 부착장소와 영양소에 대한 병원균과의 경쟁, 항균 및 항바이러스 물질의 분비, 중금속과 독소의 흡착 및 불활성화, 면역조절 등이다.

○ 프로바이오틱은 주로 건강식품, 의료 및 화장용 소재, 가축용 사료첨가제로 이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대표적인 프로바이오틱은 세균(Bacillus, Bacteroides, Bifidobacterium, Clostridium, E. coli, Enterococcus, Lactobacillus, Lactococcus, Streptococcus, Propionibacterium), 효모(Saccharomyces, Torulopsis) 곰팡이(Aspergillus) 등이 있다.

○ 지난 20년간 프로바이오틱의 효능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추진되었지만 건강한 사람의 프로바이오틱 효능을 입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로 남아있다. 국내 프로바이오틱의 효능연구로는 Lactococcus 균주에 의한 장내세균의 생체내외 실험, 알레르기 병을 예방 및 치료하기위한 유산균의 면역시스템,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프로바이오틱의 효과 등이 있다.

○ 현재 프로바이오틱은 유산균정장제, 유산균 발효유제품, 가축용 사료첨가제로 판매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항균, 항바이러스물질과 항염증성 대체의약품과 식품과 음료수의 곰팡이독소(aflatoxin)와 시아노박테리아 독소(microcystin)의 제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모든 프로바이오틱 균주의 효능은 동일한 것이 아니고 균주마다 독특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사용목적에 따라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적합한 균주를 탐색하여야 한다. 특히 앞으로는 독특한 특성을 가진 프로바이오틱 균주를 혼합하여 다양한 특성을 가진 형태로 식품, 의약품, 사료첨가용 프로바이오틱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저자
Seppo Salminen et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21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57~167
분석자
민*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