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원자력을 이용한 방사선 멸균

전문가 제언
○ 멸균공정은 멸균방법에 따라 EOG(Ethylene Oxide Gas) 멸균, 방사선 멸균, 증기 멸균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멸균의 인증(validation)이 실시되고 있다. 인증을 위해서는 의료기기 제조업자가 멸균공정의 유효성 확인을 위한 문서화된 절차를 수립하고 최초 사용 전에 유효성 확인을 하며 관련 기록을 유지해야 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멸균공정의 멸균 후 검사 또는 시험에서는 멸균을 완전히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인증절차를 두어 관리하고 있다.

○ 방사선 가공처리 분야에서 의료용구의 방사선 멸균은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고 식품조사에서도 세계적으로 실용화가 진전되고 있다. 방사선 조사의 유무를 검사하고 생물학적 효과를 확인하는 방법에는 미생물을 사용한 선량 평가법이 있다. 생물학적 선량측정(biodosimetry)은 방사선 조사가 세균이나 곰팡이에 미치는 영향을 멸균 지표균을 사용하여 직접 확인하는 방법이다.

○ 이 자료는 방사선 멸균의 개념과 일본의 방사선 멸균현황을 설명하고 있다. 현재는 방사선 멸균이 주로 의료기기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나 앞으로는 멸균처리를 통해 제품의 품질과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분야에서의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그러한 분야로서 랩(wrap) 재료 및 용기, 위생용품, 화장품 관련 제품 등을 들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 의료용구의 방사선 멸균처리는 서울 노원구 공릉동 소재의 옛 원자력연구소 조사시설에서 시작되었는데 이 시설은 1973년에 영국의 원자력공사에서 도입한 Co-60 저준위 감마선 조사장치(105큐리 이하)를 이용하였다.

○ 현재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에 대단위 방사선 조사시설이 있다. 2001년 7월에 의결된 제2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에 의해 2006년 1월에 캐나다의 Nordion에서 도입한 Co-60 고준위 감마선 조사장치(337,517큐리 이하), Co-60 저준위 감마선 조사장치(2,193큐리 이하), 전자선 가속기(10MeV, 1mA), Cs-137 감마선 조사기(3,600큐리) 등이 있다.
저자
N. Sumitan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1
권(호)
53(2)
잡지명
日本原子力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02~106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