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용 토지 논란의 해결책인 조류로부터의 재생 가능한 연료
- 전문가 제언
-
○ 자원고갈 우려가 있는 화석연료는 최근 가격 불안정이 심화되고 있고 지구 온난화 문제를 유발하므로 대체에너지인 바이오연료의 수요가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바이오연료 생산을 위한 바이오매스의 경작지 증가에 따른 곡물가격 상승 문제의 해결책으로 조류(algae)로부터 생산되는 바이오연료를 제시하고 있다.
○ 조류는 광합성 유기체로서 햇빛과 물이 있으면 연안 해수와 사막 같은 열악한 조건에서도 잘 자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곡물 바이오연료와 달리 넓은 경작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오일 생산수율이 높아 바이오연료원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대량 생산의 기술적 한계와 경제성 등 아직 극복해야 할 과제가 많다.
○ 조류 바이오연료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첨단의 요소기술을 필요로 한다. 특히 지역 여건에서 잘 자라고 지질 함량이 높은 우량균주의 선별, 대량 배양시스템 설계, 고효율의 추출기술이 요구된다. 그리고 경제성 확보의 차원에서는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등)와 바이오정제(biorefinery) 개념의 산업과 연계된 조류배양 단지 조성, 발전소나 중공업단지의 폐수를 이용한 조류 배양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현재 미국, 일본, EU 등의 유수 기업들은 조류를 응용한 다양한 제품의 상업화를 위해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조류를 이용한 CO2 고정화, 미세조류 바이오연료에 대한 연구 등이 다수 진행되고 있다. 화석연료를 모두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우리나라로서는 대체에너지 확보차원에서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지형적 이점과 해조류 양식기술을 활용하고 고도로 발전한 IT, BT, ET 등의 첨단 기술을 융합하여 조류 바이오연료의 생산기술을 적극 개발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Anoop Singh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1
- 권(호)
- 102(1)
- 잡지명
- Bioresource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0~16
- 분석자
- 황*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