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무용기 부유법에 의한 기능성유리 개발

전문가 제언
○ 유리공업은 에너지 다소비 산업으로 에너지 절감과 CO2 등의 온실가스 배출량의 절감이 시급하다. 유리 제조 공정은 용융로를 중심으로 성형기와 부속설비, 서냉로, 인쇄로 등 많은 연소설비를 가지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새로운 열원을 이용하는 연구가 많이 실시되고 있다.

○ 가열 원으로 중유나 가스 이외에 다른 열원을 이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선진국은 이미 산소를 사용하여 소규모의 용융로를 가동하고 있다. 일본의 NEDO는 혁신적인 유리 용융기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방법은 유리원료를 과립으로 하여 다상의 플라스마와 산소 연소화염을 이용하여 초고온에 의해 분해와 반응을 단시간에 진행시키는 것이다.

○ 이 문헌에서 소개하는 무용기 부유법은 융액이 공중에 뜬 상태에서 용기와 접촉 계면이 없이 유리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는 전자력, 정전인력, 자장, 가스의 풍압을 이용한 여러 가지 부유로가 개발되고 있다. 적용할 수 있는 물질이나 분위기 등에 제한이 있으며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 필자는 무용기 부유법을 이용하여 TiO2계나 Nb2O5계 유리를 제조하고, 각종 물성을 측정하여 새로운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유리 망목형성산화물이 함유되지 않은 조성은 유리화가 불가능 한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이 개념이 성립되지 않는 것이 유리과학에서 중요한 연구대상이라고 생각된다.

○ 이 방법을 공업적으로 응용하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융점이 높은 산화물을 유리화 할 수 있어 새로운 유리연구에는 좋은 방법이다. 국내 유리공업 업계는 전반적으로 침체되어 새로운 제품개발 여력이 부족한 상태이다. 학계에서도 아직 새로운 유리 용융기술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미래를 대비하여 새로운 용융기술과 유리탐색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저자
Atsunobu Masun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1
권(호)
11(2)
잡지명
未來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2~38
분석자
김*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