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화비닐수지(PVC)의 동향
- 전문가 제언
-
○ 국내의 PVC 수급현황(2009년, 한국석유화학공업협회)를 보면 생산이 140만톤으로 전년대비 3%정도 증가이고 그 중 수출이 68만톤으로 전년대비 27%이상 증가 추세이다. 주요 용도는 Calender, 압출성형, Pipe & Fitting, Compound 순이다.
○ 한화케미칼은 친환경 고부가가치 PVC(폴리염화비닐) 제품을 앞세워 중국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PVC를 생산하는 염소 대신 무수염산을 사용해 원가경쟁력을 높였다고 한다.
○ PVC는 내약품성, 난연성 및 다른 첨가제와의 상용성으로 다양한 제품을 만들 수 있어 예부터 범용수지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PVC가 갖고 있는 약점 즉 염소기가 소각시 다이옥신 발생 원인이 된다, 가소제인 DEHP가 환경호르몬 의심물질이라는 의구심 등으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바이닐환경협의회를 통하여 PVC 산업의 발전뿐만 아니라 국민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는 것을 우선으로 삼고, 전문가 및 환경 관련 단체와의 의견교환과 상호 협력체제를 구축해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홍보활동을 펼치고 있다.
○ PVC 에 대한 기피는 앞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몇 가지 중요한 문제나 피해가 발생했기 때문이 아니기 때문에 향후 PVC 이외 소재에서도 몇 가지를 계기로 이러한 상황은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소재산업은 이것이 PVC 만의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전체적 문제로 파악하고 항상 공명정대한 과학에 입각한 소재에서 리스크평가, 관리를 실시함과 동시에 정보에 입각하여 행정이나 시민에 대해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함으로써 윤택한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 공헌하는 것이 향후 산업계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저자
- Isshiiki Minor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1
- 권(호)
- 62(1)
- 잡지명
- プラスチックス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5~29
- 분석자
- 최*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