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탄광에서 메탄배출의 환경적 영향과 대응책

전문가 제언
○ CMM 배출은 채탄으로 인한 배출과 후처리로부터 발생하는 배출로 구분된다. IPCC 가이드라인 배출량 추정에 사용되는 변수로는 메탄배출계수, 석탄생산량, 단위변환계수 등이다. 지구 전체 메탄배출 70% 이상이 유기물원에서 발생한다. CMM은 비유기물원으로 그 비중은 낮은 편이다. 2007년 IPCC의 기후변화 보고서에서 대기 중의 메탄농도는 1775ppb와 0.45W/m2이다.

○ 중국은 약 31.5조㎥의 CMM이 부존되어 있다. CMM으로 인한 탄광폭발로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입고 있다. CMM 회수와 이용기술이 상업화된다면 탄광에서의 안전조업과 청정에너지원으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으며 GHG 감소에 기여할 것이다. 중국정부는 CMM 회수와 이용에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두고 있다.

○ CMM의 회수 및 이용에 있어서 장애물은 CMM을 이용한 발전에 대한 정보와 전문가가 부족, 중국탄광에 적합한 가스제거 기술이 부족, 내연기관 발전기술 부족, 메탄이용시장 부족, 국제적인 배출거래시장제도에 대한 인식부족, 지역이익에 대한 인식부족, 민간부문의 자본투자 경험부족 등이다.

○ 우리나라의 석탄생산은 1988년 2,429.5만 톤으로 생산피크를 지나 2009년 311만톤을 소폭 상회했다. 현재 가행 탄광에서의 메탄 발생이 미미하다. 이는 지질학적으로 탄층이 고생대에 생성되고 많은 지구조운동을 받아 단층과 습곡 등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탄층에 함유된 메탄이 중생대에 생성된 탄층의 메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석탄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해외탄전 개발을 통한 석탄자급율 향상을 위하여 해외의 CMM 배출현황과 회수 및 이용기술을 간과할 수 없다. 더 발전된 CMM 회수 및 이용기술을 가진 자가 해외 석탄개발 참여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게 될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국내 메탄회수 및 이용기술 개발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요망된다.
저자
Yuan-Ping Cheng, Lei Wang, Xiao-Lei Zhang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5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Greenhouse Gas Contro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57~166
분석자
김*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