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후의 압연, 소형재 기술과 연구과제
- 전문가 제언
-
○ 압연기술은 환경부하의 저감, 에너지절감, 광폭화에 의한 생산성 향상과 고강도화, 극박판화, 나아가 프로세스와 재료의 야금학적 기술의 융합을 통한 재료의 조직제어를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방향으로 연구개발이 진행될 것이다.
○ 우리나라는 소재압연기술면에서 세계 첨단의 수준에 있으며, 열연제품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AGC(Automatic gauge control)기술을 개발, 적용하여 코일 전장에 걸쳐 ±50μm의 공차 또는 ±30μm의 공차수준까지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열연 강판의 두께를 1.0mm 이하 까지 생산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 포스코에서는 기존의 제어압연, 제어냉각에 의해 제조되는 TMCP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가공열처리 기술인 RCR(Recrystallization Controlled Rolling)기술을 개발하였는데 이 기술은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킨 기술로 조선용과 유전용강의 실 생산에 이용하고 있다.
○ 이 해설논문에서 소개하고 있는 금후 압연기술의 연구과제와 일본 경제산업성의 기술 전략 맵은 금후 우리나라의 소재기술 고도화를 위해 매우 유용한 정보라고 생각한다.
○ 세계5위의 철강생산국인 우리나라는 신흥 철강생산국과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압연 소재 기술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이 기술을 더욱 고도화 해 나갈 것이 필수적이다.
- 저자
- J.YANAGIMO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1
- 권(호)
- 52(600)
- 잡지명
- 塑性と加工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08~112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