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극통로 반응기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디젤 생산에서 균질촉매를 쓰면 수세가 필요한 복잡한 정제과정과 폐기물 발생이 불가피해지고 불균질 촉매를 쓰면 변환률이 높지 않고 바이오촉매를 쓰면 반응속도가 느리고 촉매는 고가면서 불안정하다.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한층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개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 우리나라에서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이에 필요한 에너지작물 경작, 원료작물의 형질변환을 통한 생산성 향상, 경제성 있는 바이오에너지 생산기술 개발 등이 모두 긴요한 과제들이다.
○ 세극통로 반응기(slit-channel reactor)는 반응성 표면적이 일반 반응기보다 한 차원 높으면서도 그 제작비는 마이크로 반응기보다 싸다. 이 자료에서 저자는 세극통로 반응기와 균질촉매를 써서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방법을 시범하고 개발방향을 제시한다.
○ 대두유의 바이오디젤로 전환률에 대한 세극통로 반응기의 성능은 통로의 깊이에 따라 증가한다. sodium alkoxide 촉매를 세극통로 반응기에서 사용하면 기존 회분식 반응기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성능이 좋다. 세극통로 반응기와 고체촉매의 결합사용 방안이 더 연구되어야 한다.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마이크로파 가열을 통한 바이오디젤 생산기술, 폐수발생 없는 바이오촉매에 의한 바이오디젤 생산기술 등이 개발되었다. 선진국에서는 불균일 산?염기 촉매를 이용한 생산기술이 실질적 상용화와 연계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세극통로 반응기와 고체 촉매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개발 등으로 활로를 찾아야 할 것이다.
- 저자
- Egwu Eric Kalu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1
- 권(호)
- 102
- 잡지명
- Bioresource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4456~4461
- 분석자
- 김*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