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스페인 Tinto Santa Rosa 폐광산 산성 하천의 As 자연감소와 Fe 침전물의 역할

전문가 제언
○ 갱내의 황철석 (FeS2)은 산화로 황산제일철과 제이철이 생성되는데, 황산제이철은 강력한 분해력으로 광상의 주·부 황화광물을 용해하며, 각종 중금속의 산성수를 방출하게 된다. 이 산성수가 하천으로 유입되면, 황산제이철은 가수분해로 수산화철을 생성하고 하상에 침전하여 하상을 황-적갈색으로 피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As는 희석되고 침전물과의 반응으로 감소한다.

○ 자유철석 (Fe1-xS)과 유비철석 (FeAsS)도 산화되면 황화광물의 분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유비철석은 As 공급원의 하나가 된다. 그리고 As는 각종 황화광물에 흔히 미량원소로서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분해할 때 As가 갱내수로 방출되어 광산의 산성수가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 본 글을 As 자연 감소의 원인이 되는 침전물을 schwertmannite, 자로사이트, 침철석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수착에 의한 As 자연 감소의 차이를, 갱구에서 Villar 강까지 8개 지점에서 채취한 물과 퇴적물을 대상으로 관찰·연구한 것이기 때문에 수산화철에 의한 일반적인 As 감소의 연구보다 구체적인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유의할 점은 Tinto Santa Rosa 광산의 지질 및 광물학적 자료와 하천 주변 환경에 대한 설명이 같이 수록되면 유익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으며, 산성 광산폐수를 발생하는 황화광물의 산화는 무기적으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광산폐수의 발생은 미생물 군락에 의한 산화·환원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이에 관한 연구 자료의 수집도 차후 실시되었으면 한다.

○ 광산폐수를 대상으로 서식하는 미생물의 종의 다양성, 철 황화광물의 산화·환원을 통한 신진대사 등 그 특징의 연구는 미국 Iron Mountain Richmond 광산에도 실시된 바 있으며, 우리나라는 달성 중석광산 공해방지시설 설치방안 조사연구에서 황산염 환원 균에 의한 실내실험이 수행된 바 있다.


저자
Maria P. Asta, Carlos Ayora, Gabriela Roman-Ross, Jordi Cama, Patricia Acero, Andrew G. Gault, John M. Charnock, Fabrizio Bardell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271
잡지명
Chemical Ge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2
분석자
이*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