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축삭손상 메커니즘: 절간 나노복합체와 칼슘조절이상

전문가 제언
○ 이 분석물의 원문은 캐나다 Calgary 대학의 Peter Stys와 그 동료의 2010년 리뷰논문이다. Stys 그룹은 뇌졸중과 신경외상에서 백색질 손상의 병태생리 연구를 선도하는 연구팀이다. 이 실험실은 유수(myelinat- ed) 신경섬유의 전기생리학 연구기법과 최근 개발한 유수축삭과 아교세포의 동일초점현미경법 및 CARS 영상기법으로 이 분야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 무 산소/허혈 및 신경외상에서 축삭, 아교세포의 손상 메커니즘은 Na/Ca 교환 역전에 부차적인 Ca 과부하와, 손상된 척수 축삭의 Na-의존 glutamate 수송 역전으로 인한 glutamate의 흥분독성이다. Gluta- mate receptor 6(GluR6) kainate 수용체의 활성화는 축삭의 Ca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데, 이 Ca 축적이 세포 밖 Ca의 유입 뿐 만이 아니라, 그보다 더 주목할 만한 것은 축삭 내 ryanodine-의존 Ca 저장고에서 방출되는 Ca이기여 한다는 것이다.

○ 더구나 GluR6 활성화는 축삭 내 NO(nitric oxide) 생성을 유도하고 이는 또 Ca 반응을 현저하게 증진한다. 면역조직화학기법은 축삭집에 있는 GluR6/7 집합체가 신경세포 NO synthase와 공동장소에 국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수 척수 축삭은 GluR6를 포함하는 기능성 kainate 수용체를 발현하여, 마치 glutamatergic 시냅스의 postsynaptic membrane에서 볼 수 있는 신호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새로운 개념의 축삭 ‘나노복합체’가 독성에 도달하는 Ca 양을 방출하고 이것이 축삭 퇴행의 중요한 메커니즘이라는 것이 이 분석물의 요지이다.

○ 축삭손상으로 인한 신경장애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다발경화증, 척수손상,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유전성 백색질형성장애증, 뇌실주위 백색질손상 등 다양한 퇴행성 신경질환을 포함한다. 이런 연구에서 얻은 통찰은 축삭, 희소돌기아교세포, 수초를 손상의 두드러진 표적으로 하는 퇴행성 신경장애 치료에 대한 약물개발 전략에 합리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자
Stirling, D, P, Stys, P, 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16(4)
잡지명
Trends in Molecular Medic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60~170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