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방암의 병리에서 뮤신: 진단, 예후와 치료

전문가 제언
○ 유방암은 암 사망률의 2번째로 전 세계적인 문제이다. 이 암에 대한 여러 요소가 발견 되었으나, 아직도 이런 무서운 암의 발달에 대한 분자적인 기작은 명확하지가 않다. 유방암의 병리에 따른 뮤신의 발현, 당화와 여러 다양한 형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뮤신은 유방암의 진행과 전이에 따라서 다르게 발현되어 환자의 조기 진단과 예후를 예측하는데 굉장히 유용 할 것으로 추측한다.

○ 근래 분자생물학의 발달로 소 전이가 일어나는 찾기 힘든 부위를 알아내는 분자 등대로서 뮤신을 사용한다. 에로서 아데노바이러스를 중재로한 암 목표 시스템에서 MUC1 프로모터에 의하여 유도된 발광 유전자를 개발하고, 이 발광 유전자로 암에서 뮤신이 많이 발현된 것을 찾아 낼 수가 있다. 생쥐로서 이 발광 프로브를 이용한 전-임상 연구에서 암세포가 유입된 임파절과 전이된 곳을 특별히 탐지하지 할 수가 있다.
○ 여러 다양한 생물 과정을 중재하는데 뮤신은 여러 단백질과 상호 작용을 하고 이런 상호 작용은 새로운 치료 방법에 대한 목표가 될 것 이다. 예로서 세포-침투 억제제인 GO-201 ?타이드를 유방암에 처리하면, MUC1-CT의 핵으로 이동을 차단하여, 성장 억제와 죽음을 유도하고, 암 발생을 억제한다. 앞으로 연구는 다른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는 뮤신의 구조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 이다.

○ 암 줄기 세포는 암의 개시뿐 아니라 암의 진행, 전이와 약의 저항성에 관여한다고 생각한다. 근래에 MUC1은 유방 줄기 세포에 발현 되고, 이런 발현은 유방암에서 암의 침윤과 전이를 중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앞으로 MUC1이 암의 재발 관련 유방암 줄기세포에 대한 특별한 목표로서 개발 할 것으로 기대한다.

○ 국내에서는 아주 의대 박선교수가 Tim3(mucin domain 3)이 Th1-중재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동물 실험에서 Tim3 억제제가 암 성장을 억제하였다. 연세 의대 김은경교수 팀은 CA15.3으로서 유방암의 임파절 전이를 알아내는데 사용하고 앞으로 더 많은 연구와 임상에 적용 등을 기대한다.
저자
Mukhopadhyay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1
권(호)
1815
잡지명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Reviews on Cancer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24~240
분석자
정*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