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적인 보호: 내성의 히스톤 탈아세칠화 억제제와 암 규제
- 전문가 제언
-
○ 특수한 발암 신호 통로에 발암 유전자의 첨가로 인하여 다양한 유전과 후성 유전의 이상이 온다. 이런 현상은 암 치료 목표의 성공 과 연관되어 있다. HDAC 억제제가 어떤 암 치료에 효과가 있는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암에서 HDAC의 활성도가 증가한 사실은 역으로, 세포내의 보호 기작이 있을 것으로 본다. 여기서 유전자 손실 (예, HIC1, DBC1, RENKTC11과 Chfr)이 암과 연관되어 있고, 자연 HDAC 억제제가 암 발생을 예방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그 대책을 정립하고자 한다.
○ 암 치료에 있어 HDAC 억제제의 역할을 관찰하고자 한다. 첫째, HDACs의 생리적 기능을 이해함으로 새로운 HDAC 억제 약을 설계하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할 수가 있다. 이런 전략은 뇌에서 내부적 아편 수용체와 리간드 연구에 근거하여 성공적으로 고통과 중독에 길항과 대항하는 특수한 약을 개발한 것 이다. 그러나 HDAC 억제제의 작용이 광법위 하고 독성과 부작용이 있어 사용이 한정되어 있다. 그래서 각 발암 과정에 특수한 내부 HDAC 억제제의 개발로 치료 특성과 효력을 증진할 수가 있다.
○ 둘째, HDAC-의존 과정에 발암 유전자의 유입은 공동 치료로서 약에 의한 저항을 예방할 수가 있다. 예로 뇌종양에서 Hh 통로의 목표로서, 항-Smo 약은 중배엽 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나, 곧 Smo가 돌연변이 되어 효과가 없다. Hh/Gli-의존 암세포에서 약의 저항성은 Smo의 하류에 있는 Gli 인자의 전사 기능의 활성에 기인한다. 암에서 Smo 신호와 RENKCTD11 E3 ubiquitin ligase의 상실로 HDAC1의 증가로 이어진다. 그래서 HDAC 억제제의 치료용 사용은 항-Smo 저항 효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 결론적으로 부작용이 적고 더 효과가 있는 치료제로서 자연(내성)적인 HDAC 억제제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내에서는 서울 시립대 황은성 교수가 노화와 관련된 Sirt 2를 연구하고 있다.
- 저자
- Marcotullio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1
- 권(호)
- 1815
- 잡지명
-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Reviews on Canc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41~252
- 분석자
- 정*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