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3D 얼굴인식의 목적과 접근방법

전문가 제언
○ 얼굴의 인식은 얼굴의 대칭적 구도, 생김새, 머리카락, 눈의 색상, 얼굴 근육의 움직임 등을 분석하여 얼굴의 특징을 알아내는 작업을 말한다. 최근 이와 같은 얼굴인식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홍채·지문·정맥 같은 다른 생체인식 기술에 비해 원거리 인식이 가능하고 비접촉식이기 때문에 거부감이 훨씬 덜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본에서는 얼굴의 주름·눈·입 등 신체 특정부분을 인식해 미성년자를 90% 이상 정확하게 구별하는 자판기가 등장해 화제가 되었다.

○ 가장 먼저 개발된 것은 2D 얼굴인식 기술로, 사진을 찍어 눈·코·입과 같은 얼굴의 특징적인 위치나 크기 또는 이들 간의 거리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2D 방식은 쉽고 빠르지만 조명의 밝기, 촬영 각도, 헤어스타일, 얼굴의 주름 등에 따라 인식의 정확도가 크게 차이가 난다는 취약점을 갖고 있다.

○ 3D 영상을 얼굴인식에 이용하는 기술은 눈두덩이, 코, 턱 주위 등 기준점들의 상호 관계를 입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측면에서 찍은 얼굴도 인식이 가능한 것은 물론, 피부의 미세한 주름 차이를 이용하여 일란성 쌍둥이까지도 구분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 그러나 3D 얼굴인식은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판별해야 하기 때문에 계산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 그래서 실제 현장에서는 2D· 3D· 열적외선의 장점을 취합한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3D 데이터를 이용해 얼굴 포즈를 교정한 뒤 이를 2D로 변환해 분석하고, 열적외선 영상과 가시광선 영상을 조합하면 가장 효율적인 얼굴인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2D, 3D 영상에 의한 생체인식인 얼굴인식은 앞으로 발전가능성이 매우 큰 분야이다. 특히 3D 영상에 의한 얼굴인식에 대해 보다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Dirk Smeets, Peter Claes, Dirk Vandermeulen, John Gerald Clemen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201
잡지명
Forensic Science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25~132
분석자
심*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