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용감손우라늄의 환경침식, 수명, 생물이용
- 전문가 제언
-
○ 감손우라늄은 U235의 농축부산물로 대전차용 철갑포탄으로 사용한다. 군용은 육상·해양 환경에 감손우라늄을 폐기했고, 감손우라늄영향의 지식과 붕괴감손우라늄이 환경으로 들어가는 제어요인이 바뀌었다. 감손우라늄의 환경영향을 검토했다.
○ 영국에서 1960년대 초에 감손우라늄합금 철갑포탄을 시험사격하고, 냉전 때 못한 철갑무기개발 프로그램을 1980년대 초반에 집중 개발했다.
○ 미군은 탱크?항공기?함정용 감손우라늄 탄이 많다. A-10 대전차 폭격기는 30mm 감손우라늄탄을 Kosovo/Serbia전(1999)과 이락전(2003)에 많이 썼다. 이는 반경 0.8cm, 길이 9.5cm, 중량 280g의 원추형 감손우라늄-티탄늄 철갑포탄이다.
○ UNEP은 전투지역(Kosovo, Servia, Montenegro, Bosnia, Herzegovina)에서 감손우라늄의 자세한 환경영향평가를 발표했다. 종전 후 1992~ 1994에 쿠웨이트에서 연구를 했다. 과거 10년 동안 감손우라늄의 수송, 섭취, 환경작용 등이 눈에 띄게 늘었다.
○ 감손우라늄의 식물독성은 조직의 우라늄농도가 토양농도와 비선형관계를 나타낸다. Eskmeals의 VJ Butt Zone(감손우라늄 사격장)은 농도비(CR=0.05)가 가장 높고 식물농도(3.38mg/kg)가 최대다.
○ 곰팡이가 감손우라늄에 노출되어 만든 균사는 보통 노란색으로 균사시스템에 우라닐축적을 나타낸다. 곰팡이배양으로 감손우라늄은 무게가 5.5~8% 감소한다. 부식원리는 감손우라늄노출이 저분자 카복실산 특히 강한 금속킬레이트 생성자인 옥살산의 배설을 촉진하므로 감손우라늄노출곰팡이의 우라늄축적(300 ~ 400 mg/g dw)을 나타낸다.
○ 군사기밀이라 알 수 없지만, 우리는 기술은 있어도 국제정치 여건상 우라늄농축은커녕 핵연료 재처리도 불가능한 상황이라, 감손우라늄포탄을 만든다고 생각할 수 없으며, 민간이용도 마찬가지다. 주한외국군의 보유와 사격도 속단할 수 없다.
- 저자
- Stephanie Handley-Sidhu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408
- 잡지명
-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690~5700
- 분석자
- 곽*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