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멕시코 만 북부의 저산소대

전문가 제언
○ Mississippi강은 멕시코 만으로 민물을 연간 3천 800억 톤이나 내보내는 세계 10대 강의 하나로, 농업용 비료의 질소를 내보낸다. 일반적으로 Mississippi?Atchafalaya강에서 들어오는 여분의 질소로 인한 조류생산, 대기의 산소보충을 제한하는 하천수류, 만의 계절적 수직성층 등이 멕시코 만 북쪽 저산소대의 원인이다. 저산소대의 영양염 집중현상을 검토하고, 산소소모 메커니즘으로 비 하천 유기물투입을 소개한다.

○ 여분의 영양염이 멕시코 만 북부 저산소대의 “연료? 역할을 한다. 저산소대의 두께는 약 10m 가량이 전형적이며 1m 미만이 많다. 저산소대는 바람, 해류, 하천유량 등으로 변하고, 크기나 조정 방식으로 달라진다. 하구 부유물은 광량을 낮추어 식물성 플랑크톤 생산을 낮춘다.

○ 해류 패턴과 바람의 계절변화는 Louisiana대륙붕의 저산소대 형성을 조절한다. 멕시코 만 남서부 수로 삼각주 서쪽과 Mississippi 협곡의 동쪽 Louisiana만 해역에, 반영구적 반(反)선회 와류가 있다. 서풍이 전선과 함께 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담수를 분산시키고 와류를 교란시킨다.

○ 대륙붕의 이동성 펄은 박테리아의 저서생물량이 우점적이다. 유체상과 이동성 펄의 시간적 동역학은 저산소대, 특히 천해대륙붕 해역에 영향을 미친다. 바람으로 수괴 산소소모는 Mississippi 하구부근에서 더 강하고, 저서생물군집 산소소모는 Atchafalaya 하구부근이 우세하다.

○ 저서어류 생물량은 멕시코 만 천해수역(淺海水域)에서 4배까지 늘어난다. 멕시코 만 북부의 동물플랑크톤 쇄설물은 저층수의 저산소대에 중요하다. 저산소대로 몇몇 어업 분야의 경제적 가치가 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모든 생태계가 저산소대에 취약한 것은 아니다.

○ 우리나라도 진해만 내의 진동만에 정기적으로 무산소대(저산소대보다 심한)가 발생하는 해역이 있다. 가을이면 청수현상이라는 저층 무산소대의 전도로 물고기가 떼죽음을 한다. 조사와 연구도 몇 십년간 했지만 물리·화학·생물학적 조사이고, 이 연구처럼 물리, 화학, 생물, 지질, 기상, 수리학적 모델, 생태모델 등을 이용한 종합연구는 아니다.
저자
T.S. Bianchi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408
잡지명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471~1484
분석자
곽*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