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연안수질의 시·공간적 분석

전문가 제언

○ 연안 해역 수질모니터링은 유용한 데이터를 제공하지만, 연안 해역수질은 해양생태계와 인근주민 및 산업(농업, 수산업, 공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연안 해역의 시·공간적 변화를 충분히 이해하여야 복합적이고 방대한 원격탐사영상을 적절하게 분석할 수 있다. 연안선이 긴 우리나라는 직접 샘플분석으로 적정한 해석을 도출할 수 없다.

○ 연안 해역 수질데이터는 불연속채집으로 데이터를 공간적으로 다른 방대한 측정치에 적합하게 분석해야 한다. 이런 분석법에는 크게 군집, 판별식, 구성성분, 체계화지도, 세미분산, 지리가중치 회귀분석 등 6가지가 있다.

○ 우리도 2007년에 체계화지도 분석으로 하천수역의 수질항목과 저서무척추동물을 분류했다. 1984~2000년의 조사결과를 2000~2005년 데이터와 결합해, 초기에 오염정도의 자료군집을 정리했으나, 이후에 이것과 지표의 수질구배를 지도화 해야한다. 우리는 더 시급한 육수환경의 원격탐사영상분석은 하지만 연안해역의 수질은 아직 분석하지 못했다.

○ 2011년 3월 11일 오후 일본 도호쿠 대지진(진도 9.0)은 동경 동북쪽 일본열도의 연안환경을 크게 파괴?오염 시켰다. 화력발전소와 정유공장이 폭발해 화염으로 휩싸이고, 제철소 등의 각종 공장도 지진해일(Tsunami)에 파괴되어, 일본열도 동북부의 연안해수를 크게 오염시켰다. 또한 원자력발전소가 폭발해 연안환경의 방사능 오염마저 가중시키고 있다. 일본열도 연안 해수는 쿠로시오 해류(난류)의 영향을 받는다. 우리도 조속한 시일 내에 우리위성이 보내는 원격탐사 영상을 해석하고 예측하는 연구를 본격적으로 해야 한다.
저자
Paul Bierman, Megan Lewis, Bertram Ostendorf, Jason Tann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11
잡지명
Ecological Indicator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03~114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