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혁신 : 현황과 미래전망
- 전문가 제언
-
○ "개방형 혁신“을 주제로 하여 서언, 개방형 혁신의 내용과 상황, 개방형 혁신의 과정과 결어로 구성되어 있는 본 논문은 개방형 혁신 특별호의 첫 번째 논문으로서 개방형 혁신 개념에 대한 이해의 제약을 탐구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하고, 무엇을(개방형 혁신의 내용), 언제(상황종속), 어떻게(과정)에 관한 논점을 다루고 있다.
○ 2003년 버클리대학의 Chesbrough 교수에 의해 개방형 혁신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규명되었고, 최근에는 개방형 혁신이 기업의 체질 개선을 위한 변화관리의 전략적 수단으로서 변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혁신 현장의 내외에서 기술개발은 혁신과정을 더욱 개방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고, 개방형 혁신을 광범위한 기존 활동을 포괄, 연계, 통합하는 우산이 되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개방형 혁신은 기업이 R&D부터 사업화과정에 이르기까지의 전체 혁신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높이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의 자체역량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고, 대학이나 타 기업, 연구소 등 외부의 자원이나 기술을 함께 활용하는 새로운 혁신 패러다임이다. 기술혁신은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요소가 되었지만, 오늘날의 경영환경에서는 어느 한 기업의 독자적인 내부자원과 역량만으로 성공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업 내외부의 자원을 모두 활용하는 개방형 혁신은 불가피한 수단이 되었다.
○ 우리나라의 경우 2009년 초 개방형 혁신의 개념이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하면서 출연연구기관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LG화학이 최초로 개방형 혁신을 도입하여 성공적인 사례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기업의 혁신역량을 강화하고 개방형 혁신을 확대하려는 기업의 노력과 내외부의 기술과 지식의 흡수 능력을 강화하고 연계시켜주는 혁신 환경의 조성에 대한 정책적 수단이 동시에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Eelko K.R.E. Huizingh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1
- 권(호)
- 31
- 잡지명
- Technov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2~9
- 분석자
- 김*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