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성 돈에서 근간지방 조직의 발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전문가 제언
-
○ 돼지고기에서 근간 지방은 쉽게 제거할 수가 없어서 돼지고기 중에 근간 지방이 많으면 소비자들이 돼지고기를 구입하거나 가공품으로 만드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근간 지방은 피하 지방이나 신장 주위 지방에 비하여 지방함량은 낮고, 주로 지방세포에 모여 있다. 근간 지방은 지방산의 불포화도는 보통이고, 신장 주위 지방보다는 불포화도가 높으나 피하 지방보다는 불포화도가 낮다.
○ 근간 지방은 성장속도가 피하지방보다는 낮거나 같다. 그러나 배 부위에서는 피하지방보다 성장속도가 상당히 빨라서 대형 종 생산체계에서는 지방이 상당히 축적하게 된다. Pietrain 같은 살코기용 돼지에서는 체중 20kg 전에 근간 지방 조직은 자란다.
○돼지에서 근간 지방의 발육과 조성에 대한 유전적이거나 비유전적인 조절방법에 대하여 알려진 것이 별로 없다. 그러나 돼지고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 때문에 특정 지방 조직에 대하여 그 발육속도를 조절하는 연구는 필요하다. 또한 여러 가지 지방조직에 대한 유전자를 전사하여 이들 조직의 생리적인 특성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고밀도 돼지 SNP 칩을 이용하여 전체 게놈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유전자 다형을 확인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야 한다.
○ 우리나라에서는 체지방을 줄이면서 살코기를 늘리는 돼지의 선발에 관 한 연구는 아직 많이 수행되지 않아서 여러 가지 육종방법을 이용하여 비육돈 개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 같다.
- 저자
- Maryline kouba, Pierre Sellie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1
- 권(호)
- 88
- 잡지명
- Mea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13~220
- 분석자
- 안*홍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