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매스에 의한 재생수소 생산기술

전문가 제언
○ 수소는 연소 시에 물과 열만이 발생하며, 화석연료와 같이 지구 온난화 가스인 CO2를 생산하지 않는 청정미래 에너지로서 화학 수송 이동전원 가정 연료 등 다양한 목적으로 그 활용이 크게 기대 되고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수소 생산은 화석연료인 메탄가스 또는 나프타 증기 개질(MSR) 방법에 의해 생산됨으로서 수소 생산 증가에 따라 막대한 CO2 배출이 불가피하다

○ 최근 화석연료 연소에 의한 지구 온난화 문제가 중요한 이슈가 됨으로서 바이오매스 에너지 이용 확대를 위한 새로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재생자원이나 또는 농산물, 기타 폐기물 등의 바이오매스로부터 다양한 방법으로 수소를 생산 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생되는 CO2는 광합성에 의해 식물에 저장됨으로 대기 중에 배출되는 CO2 절대량은 증가하지 않는다. 바이오매스 자원은 특정 지역에 집중되지 않고 우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에너지 자원이다.

○ 바이오매스 수소 생산은 소형 설비를 생산지에 분산시킴으로 비용절감을 위한 융통성을 발휘 할 수 있다. 현재 외국에서 개발 중인 중요한 바이오매스 수소 생산 기술은 촉매 반응 하에 산소를 함유한 탄화수소 개질 공정, Ni Co Rd Ru 촉매를 사용한 가스화 기술, 미생물의 광분해, 광 발효, 암 발효 등 박테리아 발효에 의한 수소 생산 등으로서 국내에서는 초기 단계이나 선진국은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 바이오매스 가스화 기술은 주변의 재생에너지 원료를 사용 할 수 있고 지구 온난화 가스를 줄일 수 있으나, 아직 개발 초기 단계이므로 상용화를 위한 적극적인 개발이 요망 된다. 더욱이 가스 조성이 복잡하여 수소 분리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산소를 포함한 탄화수소의 경우 전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촉매 개발이 시급하다. 발효에 의한 미생물 수소 생산 기술은 상업적인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반응 속도를 높이고 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반응장치 설계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 된다.
저자
David B. Levin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35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962~4969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