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요구에 의해 내포물을 방출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 캡슐

전문가 제언
○ 이 문헌은 콜로이드 입자에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과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을 교차 적층하여 제조한 고분자 전해질 중공 캡슐에 무기재료를 복합화 하여 외부자극 응답기능을 갖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스마트 캡슐로 기능을 발현시키기는 연구내용이다. 즉, 고가인 약물원료가 도중에 분해되지 않고 정확히 환부에 도달한 후 외부 신호에 응답하여 캡슐이 개열되면서 약물을 방출하는 약물의 표적지향성 캡슐을 개발한 내용으로 국내 제약업계에서도 많은 참고가 될 것이다.

○ 국내에서는 태준제약 중앙연구소가 DDS를 중심으로 한 제제개발에 중점을 두고 조영제, 안약, 전문 치료제 연구에 주력하여 2004년 MRI조영제 MRbester을 개발하였다. 한편, 삼양그룹도 1995년 DDS개발 전문회사로 지난 16년 간 DDS기술의 한 분야인 패취 의약품, 항암물질 등 인체의 부위에 작용하는 DDS를 개발하고 있으며 미국에 삼양 리서치 연구법인을 설립, 유전자치료 전달체 개발을 위해 미국 대학들과 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다.

○ 국내 대학들은 2005년경부터 DDS에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하여 순천대, 충북대 등에서 키토산 나노입자의 약물전달효과, 고분자 마이크로 겔의 약물방출 특성 및 항암효과 등의 연구를 하였고 2008년 충남대에서 응답성 하이드로젤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 및 방출특성에 관한 연구로 온도와 pH에 젤이 얼마나 민감한가를 측정하였다.

○ 2010년 KAIST에서 난치성 질병의 강력 치료제로 각광 받고 있는 소간섭 RNA를 화학적 결합방법으로 다중접합체를 만들고 독성이 적은 양이온성 고분자에 붙여 나노복합체를 만들어 세포 내 전달을 높이는 나노 약물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복합체는 목표 유전자에 붙어 단백질생성을 막고 몸 안에서 면역반응도 적어 유전자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어 본 논저와 같이 특정 부위에서 외부 신호에 의해 캡슐이 개열하는 피막을 만들어 주는 방법도 시도하면 좋을 것이다.
저자
Kiyofumi Katagir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1
권(호)
46(2)
잡지명
セラミックス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09~113
분석자
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