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제약제내성 및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에서 매년 3만5000여명의 새로운 결핵환자가 발생하며 2008년 기준으로 인구 10만 명 당 신환자가가 88명 발생하여 이중 5.5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이는 OECD 가입 30개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치이다. 경제위기와 고 실업률로 인한 노숙자 증가로 결핵이 증가추세이다. 2009년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도 다제약제내성 환자가 3천명에 육박하고 있다. 여기에 HIV/AIDS 동시 감염으로 인한 결핵 사망자 증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 결핵약제 내성의 출현은 매생물의 선택에 의한 진화과정이다. 이는 이전에 치명적인 약제의 용량을 이겨내는 능력을 향상시킨 것이다. 한때 기적의 약이라고 불리던 페니실린이나 에리스로마이신에 대해 박테리아들이 내성을 얻어 효력이 약화된 것은 잘 아려진 사실이다. 이와 같이 결핵약제들 자신이 선택압력으로 작용하여 박테리아 집단에 내성 박테리아의 성장을 돕기도 한다.

○ 약제 내성이 생기는 기전은 여러 가지가 있다. 내재적인 내성은 박테리아의 유전자 보충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생긴다. 박테리아의 염색체는 약제가 목표로 하는 단백질 암호화에 실패할 수 있다. 후천성 내성은 박테리아 염색체의 돌연변이의 결과거나 혹은 과잉 염색체 DNA를 획득하여 생긴다. 약제활성 생산 박테리아가 내성 기전을 갖게 진화할 수도 있으며 이것이 유사하게 약제 내성 종들로 이전되기도 한다.

○ 광범위 결핵약제에 대해 내성을 보이는 결핵균에 대한 유전자 지도가 완성되어 더욱 좋은 치료제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난달 21일 하버드대 연구팀이 과학 논문 발표 전 'www.tbdb.org' 웹 사이트에 발표한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다제약제내성 결핵균에 대한 유전자 서열을 밝혀내 일부 변이가 이 같은 내성을 유발하게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다른 결핵균주와 이 들의 유전자 서열을 비교함으로써 결핵균이 현재 약물에 대해 어떻게 약물에 저항을 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됐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약물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한다.
저자
neel R Gandhi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375
잡지명
The Lancet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830~1843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