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D와 항바이러스 상태
- 전문가 제언
-
○ 세균과는 다르게 바이러스를 저지시키는 물질의 개발은 상대적으로 늦게 진행되고 있다. 근래 바이러스 증식환의 각 단계에서 바이러스의 작용을 저지시키는 기작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
○ 본 레뷰는 비타민 D의 항바이러스 작용에 관한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를 취합하여 보고하고 있다. 비타민 D의 생리, 항바이러스 작용의 기작, 선천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연구 사례들을 열거하고 있다.
○ 특히 비타민 D는 감염에 대한 면역계의 반응을 매개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증거가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비타민 D는 바이러스 감염병과의 싸움에서 유용한 차단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 비타민 D의 항바이러스 효과에 관하여 수행된 바이러스 종류는 광범위하다. 호흡기 바이러스에 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비타민 D는 피부로부터 생성이 가능하며 태양에의 노출이 상대적으로 낮은 겨울철에 부족으로 인한 호흡기 감염 증상의 악화가 없도록 조치가 필요하다.
○ 호흡기 질병 이외에 HIV 감염자, 뎅기열 등 모기 매개 바이러스, 수두 등 그 연구 범위가 다양하게 수행되었다. 일부 연구에서 비타민 D의 효과에 대해서 상충된 결과를 보이는 경우도 있었으나 다수의 경우에 현저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우리나라 사람을 대상으로 한 비타민 D의 항바이러스 연구의 수행이 필요하다. 태양에의 노출, 음식 문화 차이에서 초래되는 비타민 D 복용량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외국과 상이한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또한 바이러스를 비롯한 각 종 감염증의 차단에 비타민 D의 중요성이 규명됨에 따라서 우리나라 국민들의 비타민 D 결핍이 없도록 대대적인 홍보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저자
- Jeremy A. Beard,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1
- 권(호)
- 50(3)
- 잡지명
- Journal of Clinical Vir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94~200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