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현 발명의 청구 범위에서, 전기 충전과 방전 시스템은 DC전류에너지 자원, 직류의 흐름에 대해 센서와 스위치의 컴퓨터 제어세트, 높은 전기 용량으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콘덴서의 배열의 복수, 가능한 최장시간동안 배전 시스템을 통하여 매우 높은 전압 외향성의 에너지를 공급하는 고 유전체 강력 저장콘덴서로 구성된다. 첫 열의 콘덴서들은 에너지 자원의 전압 수준에 도달될 때까지 병렬로 충전된다. 다음 이들 충전된 콘덴서는 충전을 위한 병렬로 연결된 콘덴서의 2차열에 조합된 높은 충전전압을 제공하도록 직렬로 연결된다. 병렬로 충전과 직렬로 방전하는 과정은 저장콘덴서에서 목표전압에 도달하도록 요구됨으로써 많은 열로서 몇 번이나 반복된다.
○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제품들을 제공하고 있는 여러 초대용량 콘덴서 제조업체들이 있지만, 대부분의 다중 층 콘덴서들은 그 구조가 비슷하다. 오늘날 최상의 초대용량 콘덴서들은 전력이 극히 높은 장치들로서, 최대 전력 밀도가 20kW/kg에 이른다. 크기가 작은 초대용량 콘덴서들은 종래의 콘덴서들보다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에너지를 신속하게 또는 천천히 방출할 수 있다. 이들의 수명이 길다.
○ 한국에서 신성장동력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2차 전지와 함께 콘덴서 시장이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콘덴서는 에너지저장 장치용으로 쓰이는 부품으로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전류 저장장치로 채택되는 것을 비롯하여 새로운 에너지 저장 부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삼화콘덴서는 스마트그리드용 고출력 슈퍼콘덴서 개발에 성공했다.
○ 이번 개발에 성공한 이 제품은 기존 제품 대비, 등가직렬저항이 30% 감소해 고출력이 가능하며, 제품수명도 늘렸다. 순간적인 고출력과 안정적인 대규모 전력시스템이 필요한 전력용 스마트그리드 분야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삼화회사측은 스마트그리드용 고출력 슈퍼콘덴서의 시장규모를 올해 약 1500억 원 규모에서 2012년에는 1조 원 가량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저자
- Horrat, Branimir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1
- 권(호)
- WO20110005244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61
- 분석자
- 김*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