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축적효용 가설을 이용한 세계 철원 수요의 예측모델

전문가 제언
○ 2006년도 주요국의 조강생산량(일본 1억1622만톤, 중국 3억9000만톤)과 2008년도 주요국의 조강생산량(전세계 13억 2,972만톤, 중국 5억 201만톤, 일본 1억 1,874만톤, 미국 9,149만톤, 러시아 6,851만톤, 인도 5,505만톤, 한국 5,349만톤, 브라질 3,371만톤 등)을 참조할 경우, The University of Tokyo에서 예측한 2030년의 조강생산량(14억톤~21억톤(A1 시나리오)과 2050년 조강생산량(19억톤~41억톤)은 시나리오별로 차이가 많고 최대/최소 생산량의 차이가 매우 크므로 이에 관한 폭넓은 검토가 필요하다.

○ 금속소재 사용과정 중의 축적량이 GDP의 함수가 된다는 새로운 가설인 「축적효용가설」과는 달리 금속소재의 생산, 소비, 축적, 폐기 등과 같은 소재의 흐름을 분석하는 재료흐름분석(Material Flow Analysis, MFA)에 의한 금속의 사용과정중의 축적량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추정하는 특색을 갖는다. 재료흐름분석은 일정 기간의 물질흐름을 해석하는 정상상태 모델(Steady-state model)과 시간경과에 따라 해석하는 동적모델(Dynamic model)이 있는데 이를 적절하게 활용하면 철강재료 수요예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자동차, 조선, 중화학산업설비 등에서 핵심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철강재료를 안정하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내 철강제조업체와 한국철강협회가 중심이 되어 중장기적 측면의 철강재 수요량을 예측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The University of Tokyo에서 발표한 「축적량효용가설을 이용한 세계 철원수요의 예측모델」에 관한 정보는 중장기적 철강재 수요량의 예측을 위한 연구에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Sumio Kozaw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96(12)
잡지명
鐵と鋼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706~713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