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자연형 녹색길 건설
- 전문가 제언
-
○ 도로는 다양한 풍경의 중요한 특징이고 도로의 높은 집중은 풍경의 패턴 변화, 생태흐름 방해, 침식증가, 서식지 파괴 그리고 외래종 번식가능 등의 많은 생태계에 영향을 준다. 본고는 중국의 환경적 그리고 사회경제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도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자연에 가까운 녹색길”을 건설에 대하여 검토한다.
○ 기존 생태계와 녹지공간을 보전하면서 문화와 여가수요를 충족시키는 현실적인 대안이 바로 새로운 개념의 녹색길이며, 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략과 종합적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여러 선진국에서는 국토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녹색길을 조성하여 국민의 여가, 건강, 체육, 문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 국내의 녹색길 조성 등 녹색환경사업은 기존 산업보다 많은 수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특히 실업상태의 청년층과 유휴인력인 노년층에게 새로운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녹색성장의 궁극적 목표인 건강한 국민과 건강한 국토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민이 편안 하게 즐길 수 있는 아름다운 국토 가꾸기, 즉 녹색길은 조성, 운영과정에서 일자리 창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에서 추구되고 있는 녹색길 건설은 향후 친화적 관리, 보전, 복원의 종합적 관리와 보호대책 등 해당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 관점에서 수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연환경관리 전문가 혹은 전문기관이 협조하여 계획하여 지역협력 기반의 녹색길 관리와 운영이 될 수 있도록 전담 조직을 구성하여 운영하도록 해야 한다.
○ 삶의 질 중심의 정책 패러다임은 정부주도에서 탈피하여 지역 주체인 동시에 정책수혜자인 주민들이 사업기획과 집행의 전 단계에 자발적 참여를 기본으로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선 지역별 특화브랜드 창출, 고품격 생활환경 조성, 도농 상생형 복합생활공간 조성 등을 들 수 있다
- 저자
- Chengli X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1
- 권(호)
- 37
- 잡지명
- Ecological Engineer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01~406
- 분석자
- 한*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