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직접투자와 무역 : 베트남의 사례
- 전문가 제언
-
○ 본 논문은 “외국인직접투자와 무역 : 베트남의 사례”의 주제하에 중력모델을 이용하여 외국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 FDI)가 베트남의 수출, 수입과 순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1990-2007년 기간동안에 무역과 FDI간의 연계에 초점을 둔다.
○ FDI는 외국인이 단순히 자산을 국내에서 운용하는 것이 아니라 경영참가와 기술제휴 등 국내기업과 지속적인 경제관계를 수립할 목적으로 투자하는 것을 의미한다. OECD는 국내기업의 사업부문과 영업권들을 외국인에게 매각한 경우도 FDI로 본다. 이밖에도 기업경영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외국인이 주식과 지분은 취득하는 투자도 FDI로 볼 수 있다.
○ 많은 이론적 및 실증적 연구에서는 무역흐름에 대한 FDI의 영향이 조사되었고, FDI와 무역을 촉진 또는 대체하는지는 FDI의 유형(수평적 또는 수직적 FDI)에 의존된다고 주장되고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수출과 FDI간, 수입과 FDI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존재하고, 수출과 수입은 FDI에 보완적임을 나타낸다.
○ FDI는 무역지향성이 높아 무역을 촉진하고,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국내기업의 수출을 촉진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지닌다. 물론 FDI초기에는 수입이 많아 국제수지에 악영향을 미치지만 시간의 경과에 따라 국내조달비용이 높아져 수입이 감소하는 반면 수출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외에 FDI는 국내시장의 경쟁을 촉진하고, 국내기업의 경쟁력제고노력을 유발한다.
○ 우리나라의 2010년도 FDI는 129억 달러를 기록해 10년이래 최고의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정책적 노력에 비해 우리나라 FDI의 유입은 실적이 부진한 편이고, 전세계 GDP대비 FDI스톡이 23% 내외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8%대에 머물고 있다. 그러므로 더 많은 FDI의 유치를 위해 각종유인책을 추진하고, 투자하기 좋은 국내경제환경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외에 FDI의 유치기능강화와 FDI유치기반의 조성이 필요하다.
- 저자
- Sajid Anwar, Lan Phi Nguye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1
- 권(호)
- 25
- 잡지명
- Research in International Business and Fina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39~52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