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HTML5 기반 Server-Client 시스템

전문가 제언
○ 2010년 스티븐잡스가 기존의 RIA(Rich internet/Interactive Appli cation)의 대표주자인 플래시의 대체수단으로 HTML5 기반기술을 주장한 것 이외에도 사실상 웹 환경으로 모든 서비스와 네트워크 구축에서 닷넷/자바/임베디드의 어느 형태 이든 그 핵심 언어는 HTML이고 사용수단은 웹브라우저 이었다. 1999년 기준의 HTML 표준은 RIA구현의 한계인 비표준화, 종속성, 플러그인의 단점으로 신규표준인 HTML5를 태동하게 하였다. 국내외 주요업체들은 이미 웹브라우저 개발 및 서비스 개발에 HTML5을 적극적으로 적용해가고 있으며 MS, 애플 ,구글 등은 각각의 Native/Web 어플리케이션을 전략적으로 리딩 하고 있다.
○ MS를 위시한 일부업체들의 닷넷전략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다양한 응용기기의 데이터를 컴퓨터 플랫폼과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상관없이 XML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대한 DB를 통합, 궁극적으로 모바일 클라이언트에게 종합적으로 서비스하려는 의도가 있다. 이러한 의도에 따른 전략에 국내업체들의 대웅이 필요하다. 다양한 무선통신기술, 실시간 협업 및 통신, 웹 브라우징, 멀티미디어 지원, CPU지원, 에뮬레이션 기술 등으로 인터넷서비스를 통한 통합서비스를 구현하려는 닷넷 전략은 XML을 사용 PC, PDA, 모바일 폰 등의 모바일 기기 및 기술, 시스템개발 구축을 위한 상용화제품을 활성화 시킬 것이다.

○ HTML5는 현재 파이어 폭스, 크롬, 사파리, 오페라, IE 9 같은 브라우저에서 제한적으로 사용가능하며 급속한 확산이 예상된다. 플러그인/플래시 없이 브라우저만으로 응용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모바일 웹의 성능과 활용영역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아직 기술완성도와 표준화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향후 HTML5는 확대되고 웹 베이스 어플리케이션이 증가할 것이며 웹브라우저는 추가적인 개발플랫폼 형태가 될 것이다.

○ 이 기술의 장점은 HTML5 과의 부합과 실시간 양방향 브라우저통신에 의한 효율적 게이트웨이 서버시스템 구조의 제공이다. 분산 웹 응용 실행, 이진 및 텍스트 기반 프로토콜 지원, 웹 소켓 지원프로토콜과 효율적인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 에뮬레이션 스택과 게이트웨이 서버와의 상호운영성, 웹브라우저 및 분산응용 제어/관리가 용이하다는 점이다.
저자
KAAZING CORPORATION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WO20100127327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55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