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지역 대류권에서 광 흡수성 에어로졸의 계절변화와 이동
- 전문가 제언
-
○ 2007년 기후변동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은 흑색탄소(BC: Black Carbon)의 복사강제력이 적설면의 알베도를 저하시키는 BC on Snow 효과를 제 4차 보고서에 추가시켰으며 설빙 면에서 BC의 복사강제력은 전 지구에서 연평균 +0.1±0.1W/㎡로 하였다.
○ 이는 BC를 포함한 유기탄소류의 에어로졸이 설빙 면에 침착할 때 알베도를 저하시키고 이는 북반구의 설빙지역에 영향을 미치며 극지지역의 온도상승을 가져오게 되고 따라서 주위 설빙 면의 융해가 가속화되어 기후변동에 파급되는 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 그런데 이런 유기탄소류들은 발생원으로부터 대류권으로 유입되고 대류권의 기류를 타고 이동 월경하여 극지지역의 대기권에도 침착 강하하여 대기 중의 유기탄소 농도를 크게 증가시킨다.
○ 현재 라이더 등 정밀한 관측장비와 모델링 그리고 위성관측에서 극지지역의 유기탄소류들이 광 흡수성 에어로졸로서 대류권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들의 발생원은 북극에서는 인접한 유럽의 공업지대와 러시아 삼림화재 등으로서 여기서 나온 대기오염물질과 매연입자들이 북극상공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남극에서도 남극 주변해역의 BC가 저기압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 그러나 기후변동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대기환경의 지속적인 감시, 물질순환 그리고 이동과정의 해명, 유기탄소 등 에어로졸과 구름과의 상호관계들을 복합적으로 연계 해석해야 하므로 국제적인 공조연구가 긴요하다.
○ 최근 우리나라도 남극의 기존의 세종기지와 북극의 다산기지, 그리고 남극에 제2의 장보고기지를 건설하고 있어서 극지의 기후변화와 이들이 지구기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좀더 근원적인 연구접근이 가능 할 것으로 보여 국제공조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Keiichiro HA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25(3)
- 잡지명
- エアロゾル硏究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26~233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