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토콘드리아의 융합과 분열
- 전문가 제언
-
○ 미토콘드리아가 부단히 세포내에서 서로 융합되고 또 분열되고 있고 이러한 현상이 여러 가지 생리적 현상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의 중요성을 간파하고 대처하는 생명과학자들이 많지 않다. 이것은 교과서의 책임도 크다고 생각된다. 아직도 대부분의 교과서에서는 단일 미토콘드리아 절개 단면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보여주고 융합과 분열의 역동성 설명이 부족하다.
○ 국내의 몇 연구 그룹이 미토콘드리아의 역동성에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은 고무적이다.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DISC1가 mitofilin과 더불어 필수적인 기능을 한다는 최근의 연구결과는 흥미롭다. 이들이 혹시라도 미토콘드리아 분열에 관련된 내막 단백질일 가능성은 없는가? 생각하게 된다.
○ 지난 15년간의 연구는 주로 미토콘드리아의 융합과 분열에 관련된 유전자들을 찾는데 시간을 보냈다면 앞으로는 이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이제는 미토콘드리아의 역동성과 분포, 형태들에 관련된 90%이상의 유전자들이 확보되었다고 판단한다.
○ 세포의 분화과정에서 얼마만큼의 미토콘드리아가 분배되는 것이 적절하며 그 경로는 어떻게 조절되는가?
○ 미토콘드리아의 역동성은 미토콘드리아의 적절한 유전과 분포를 확인하고 건강한 상태에서 그들을 유지하려는 것이라는 견해가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우선 세포 특이적 미토콘드리아 분포의 맵이 필요하지 않을까?
○ 심장세포들과 같이 많은 에너지를 생산소비하는 세포들과 신경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역동성의 차이점은 있을까? 앞으로 수년간 많은 기대되는 연구결과들이 나타날 것이다.
- 저자
- Benedikt Westerman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11
- 잡지명
- Nature Reviews Molecular Cell 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872~884
- 분석자
- 김*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