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발전의 동향
- 전문가 제언
-
○ 현재 국내에서 가장 중요하면서 조속히 해결해야 할 환경문제 중의 하나는 폐기물 처리이다. 배출된 폐기물과 새롭게 발생하는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매립 용지의 확보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고 또한 폐기물을 소각하여 이를 감량하는 처리방법도 다이옥신 발생과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관점에서 사회적으로 많은 논란이 많다.
○ 폐기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폐기물고형연료(RDF: Refuse Derived Fuel)는 저장과 수송이 용이하고 발열량이 높으면서 비교적 안정된 연료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폐기물이 분산되어 있는 지역의 지자체나 산업폐기물의 발생근원에서 RDF를 제조하여 한 장소에 수집하고 이를 대형 연소시설로 수송하여 고효율의 발전을 수행하는 광역지역 폐기물발전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 특히 RDF를 유동층으로 연소하면 800~950도 온도에서도 RDF에 첨가된 Ca에 의해 탈염소 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에 배기가스 중의 HCl 농도가 200ppm 이하로 저감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RDF의 연소를 위해서는 연소시설의 공정 개선이 필요하지만 고효율 에너지 회수가 가능하고 회수된 에너지의 에너지원단위 환경부하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 RDF의 제조와 처리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에서 수집의 최적화와 처리기술의 실증실험 그리고 성능평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지역 사정에 적당한 폐기물 처리시스템을 위해서는 전체 공정을 검토하여야 하고 환경부하뿐만 아니라 경제성도 고려하여야 한다.
○ 이 자료는 일반쓰레기 소각로를 이용한 발전 분야에 대한 일본의 현황을 서술하고 있다. 국토면적당 환경오염이 OECD국가 중에서 최고를 기록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도 지속 가능한 자원순환 사회의 정착을 위해 폐기물에너지의 회수 및 발전을 보급시켜 왔는데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다. 일본의 RDF 이용현황을 서술한 이 자료는 우리의 폐기물 분야에서 참고할 수 있는 자료이다.
- 저자
- Eiichi Shibuya and Tetsuya Usuk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89(6)
- 잡지명
- 日本エネルギ―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490~497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