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의 공기오염이 어린이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방법론
- 전문가 제언
-
○ 여러 가지 대기 오염물질들이 호흡기나 피부 등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많은 연구들이 보건/의학 분야에서 수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학교에서의 공기 오염이 어린이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분야에서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보다 학교 내의 공기 질에 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이 연구의 핵심요소라고 판단된다.
○ 학교 내의 실외공기 질에 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을 위해서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일정시간 샘플링한 후 분석하는 방법과 실시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병용하고 학교 주변의 미기상학적 변화와 주요 오염원의 위치를 고려하여 여러 장소에서 오염측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 국내의 유사 연구사례로는 학교건물의 노화정도에 따른 실내공기 질에 관한 연구와 PM10(직경 10μm이하 먼지 입자)이 중학생의 폐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있으며 앞으로도 학교 주변의 교통량의 증가나 기타 공기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시설들의 증가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 국내에서도 공기 중 오염물질의 이동과 확산을 예측하는 확산모델에 관한 연구사례가 있고 이를 대기오염 예측에 적용한 사례도 많기 때문에 학교의 공기 오염 연구 분야에도 이러한 확산모델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의 경우 황사로 인한 대기 오염과 실내 내장재들에 의한 실내공기 오염이 많은 관심을 끌고 있으므로 학교의 공기 오염과 관련한 연구에서도 이러한 주제들이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학교의 공기 오염에 관한 연구는 기존 학교의 환경 변화(예: 교통량의 증가, 새로운 산업시설이나 주거시설의 등장, 학교건물의 노화 등)에 따른 오염노출 수준을 판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학교를 건설하기 전에 공기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입지를 선정하거나 실내 환경을 설계하는 데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Jaime F. Mejia Samantha Low Choy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1
- 권(호)
- 45
- 잡지명
- Atmospheric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813~823
- 분석자
- 양*식
- 분석물
-